이 글은 다음의 세 가지 물음으로부터 출발한다. 첫째, 기호유학의 범주에서 한원진을 중심으로 한 철학사상은 어떠한 위상을 갖고 있는가? 둘째, 한원진의 학술사상은 체계적인 ``남당학``으로 정립될 수 있는가? 셋째, 한원진의 학술은 현대적인 관점에서 어떤 의미가 있는가? 이러한 문제의식을 전제로 필자는 먼저 기존의 연구 성과를 수렴하여 남당학이라고 하는 새로운 학술 용어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그리고 현대 기호유학의 영역 설정과 관련해서는 ``호남유학``을 ``기호유학``에 포함할 것인지의 여부에 대해 재고할 것을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필자는 남당학의 가능성을 남당의 학술사상이 갖는 독자성과 학문적 위상, 그리고 당대의 정치적 위상을 통해서 확인하였다. 한원진의 학술적 독창성은 ``因氣質``의 개념을 새롭게 정립하여 성리학 이론을 심화시켰다는 점에서 발견된다. 유학사적으로는 문헌 해석학 작업을 통해 『朱子言論同異考』를 저술함으로써 조선유학의 위상을 동아시아적인 지평에서 조망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었다. 또한 한원진은 ``洪洲``에 거주하는 호서의 일개 학인에 불과하였지만 기호유학을 넘어 율곡학파를 대표하였고, 당대 유학의 춘추대의를 표상하는 인물이었다. 이처럼 한원진은 한국유학의 전개 과정에서 새로운 학술적 의제를 제안하였고, 율곡학파의 성리학 이론을 심화하는데 기여하였다. 그러한 점에서 필자는 한원진의의 학술사상은 체계적인 ``남당학``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갖는다고 판단하였다. 그러나 한원진의 철학적 사유가 파국의 지점에서 타자를 배제하는 독단의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는 개연성에 대해서는 숙고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This essay inquires into three issues. First, what philosophical significance does Namdang`s theory have in Kiho Confucianism? Second, can his theory be developed as a systematic Namdang studies? Third, what meaning does his theory have in contemporary times? Starting with these three questions, I discussed a possibility that ``the Namdang studies`` can be established on the basis of the previous studies regarding his philosophy. I also proposed reconsidering whether it is right to include ``the Honam Confucianism`` into ``the Kiho Confucianism`` with regard to the scope of ``the Kiho Confucianism``. Lastly, I proved the possibility of ``the Namdang studies`` through the originality, and academic and political significance of Namdang`s theory. The originality of his theory is to deepen Neo-Confucianism by reestablishing the concept of "issuing from temperament (inkijil)." He also provided an opportunity to view Choseon Neo-Confucianism in the context of East Asia by interpreting ``The Research of the Similarities and Dissimilarities in Zhu Xi`s Theories(Chujaonrondongigo)``. In addition, he went beyond the Kiho school and represented the Yulgok school although he was just one of the Hoseo Confucianists to live in the area of Hongju. He was also one of the representative philosophers to stand for the Confucian thought of righteousness. In this way, Namdang proposed a new academic issue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Korean Confucianism and contributed to deepening the theories of Yulgok Confucianism. Accordingly, I thought that his ideas can be developed as the Namdang studies. However, we should also consider that his ideas ruled out other philosophical schools and proceeded as a "dogm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