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KCI 등재
경험논문 : 명상기반 개입법에서 정적명상과 동적명상의 차별적 효과
Differential Effects of Moving and Unmoving Meditation in Meditation-based Intervention Programs
김완석 ( Wan Suk Gim )
UCI I410-ECN-0102-2014-100-001518152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움직임을 이용하는 동적명상과 몸을 움직이지 않는 정적명상의 차별적 효과와 명상수련에 대한 평가반응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43명을 8주간의 수련 중 첫 4주간 정적명상을 먼저 실시하고 나중 4주간 동적명상을 실시하는 집단과 수련순서를 반대로 실시하는 집단에 무선할당하고, 명상수련 이전과 4주 후, 명상수련 종료 후에 측정을 하였다. 마음챙김수준과 심리적 증상, 삶의 질, 역기능적 메타인지, 자기연민, 회복탄력성 및 혈압과 맥박 등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8주간의 명상수련은 마음챙김 능력과 심리적 증상, 삶의 질 측정치의 총점과 하위척도에서 대부분유의한 향상을 보였고, 역기능적 인지를 줄여주었으며, 자기연민을 향상시켰다. 하지만, 걱정과 생리지표에서는 아무런 효과가 없었다. 마음챙김 능력중 묘사요인, 심리적 증상 중에서 신체화, 자기연민 총점과 일부 하위요인에서 명상순서와 측정시기 간의 상호작용이 유의해서, 이들 변수에 대해서는 명상의 효과가 명상수련의 순서에 따라 상이한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로 명상수련의 긍정적 효과는 동적명상을 실시한 후 보다는 정적명상을 실시한 후에 측정했을 때 더크게 나타났다.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나 주관적인 변화체감도는 동적명상을 먼저한 집단이 정적명상을 먼저한 집단에 비해 높았다. 하지만, 실제 명상수련에 대한 참여도는 집단간에 차이가 없었다. 각각의 명상기법에 대한 선호도는 어떤 명상을 먼저 수련하는가에 따라 달라져서, 대체로 정적명상 수련경험은 동적명상에 대한 선호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성인인 대학생을 위한 프로그램의 구성과 실시에서 연구결과가 갖는 시사점과 함의와 향후 연구주제를 논의하였고, 연구의 제한점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t effects and the evaluative responses of moving mediations and unmoving mediations. Forty-three college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one of two experimental groups. The unmoving-first group practiced sitting and body scan meditation for 4 weeks while another 4 weeks of walking meditation and hatha yoga practice were followed. For the moving-first group, the order of practice was inversed. 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the level of mindfulness, psychological symptoms, the quality of life, meta cognition, self-compassion, as well as resilience and physiological variables such as BMI, heart rate, and blood pressures were measured at 3 time periods: before, after 4 weeks, and after 8 weeks of practice. Eight weeks of meditation practice revealed beneficial effects on most of the psychological variables but not on the physiological variables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ffect among the groups were observed. Analysis of two incremental scores by 2-way ANOVA(group by time) showed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in describe subscale of FFMQ, somatization subscale of BSI, and the total score and some subscales of SCS. Generally, unmoving meditation rather than moving meditation increased the beneficial effects more on those variables. The moving-first group rather than the unmoving-first group satisfied more the meditation program and perceived more personal changes,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participation level. Besides, preference for the meditation methods differed depending on the kind of meditation first practiced. Experiencing the unmoving meditation seemed to increase the preference for the moving meditations. In this study, implications of the results for the development of meditation-based programs for college students and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as well a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