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는 칼 바르트와 토랜스(T. F. Torrance)에 의해 그리스도와의 연합이란 구속사를 반영하지 않는다고 비판을 받고 있다. 그러나 웨스트민스터 대소요리문답은 그리스도와의 연합이란 구속사를 분명하게 반영하고 있으며, 신앙고백서는 구속사라는 용어를 직접 사용하지 않고 있으나, 그리스도와의 연합이란 구속사의 내용이 유효한 소명과 칭의를 비롯한 여러 항목에 녹아들어가 있어 간접적으로 반영되어 있다. 그러므로 구속사와 구원의 서정이 대립적이고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는 구원의 서정을 다루나 구속사를 반영하지 않는다는 그들의 주장은 근거가없는 것이다. 그리고 칭의와 성화의 동시성을 주장하는 칼빈과 달리 신앙고백서는 칭의와 성화의 논리적인 순서를 인정하고 있다.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의 구원의 서정은 신앙고백서 10장 -18항에 걸쳐칼빈의 순서와도 다르고 개혁파가 일반적으로 인정하는 순서와도 다르게 배치되어 있다. 10항은 유효한 소명 11항은 칭의, 12항은 양자, 13항은 성화, 14항은 구원 얻는 믿음 15항은 생명 얻는 회개 16항은 선행, 17항은 성도의견인 18항은 구원의 확신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의 원칙은 10-12항은 하나님께서 단독적으로 역사하는 것들이고, 나머지는 하나님께서 주권적으로 역사하실 때 인간의 순종의 요소가 들어가 있는 것들이다.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의 구원론은 성공회의 39개 신조의 칭의를 개정하는 과정에서 “온전한 순종과 만족”이란 표현이 그리스도의 능동적 순종과 수동적 순종을 나타내는 의미로 제시되었다. 많은 찬반논란을 거친후에 최종본에는 “온전한”이란 용어가 삭제되었다. 그래서 능동적 순종이 빠진 것으로 해석되나, 고백서 8장 5절에 그리스도의 “완전한(perfect) 순종과 희생”을 비롯한 여러 표현들이 능동적 순종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므로 신앙고백서가 반대파들의 의견을 고려하여 간접적으로 표현하였지만, 능동적 순종의 전가를 포함하고 있다.
In the process of making the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WCF), many theologians debated over the imputation of Christ`s active obedience in the justification. In the final statement, it is expressed in eclectic manner. This expression is interpreted as an attempt to draw an agreement among the theologians with different opinions and to avoid excluding any of them. The themes of historia salutis and ordo salutis are interconnected and developed in a supplementary manner. These themes were already established by Calvin and well received by the westminster theologians. However, WCF does not include union with the Christ while the Larger Catechism expresses it as the fundamental principle. At least, the elements expressing union with the Christ are reflected in Chapter 10 and 11 of WCF. It is the same appearance with that regeneration is not treated independently but is handled within the effectual calling. Ordo salutis in WCF is arranged in a way that God`s monergism covers effectual calling, justification, and adoption while sanctification, saving faith, and repentance can occur with the coexistance of human being`s obedience and God-driven work. The deep interest in sanctification can be viewed as an attempt to overcome the threat of antinominianism. They tried to reveal God`s glory through sanctification which is a fruit of good work, and tried to get over antinominianism. One of the most heated debate in this period was about imputation of the Christ`s obedience with willingness. Scholars even differ in interpretation on whether this issue is fully included or not. This issue draws more attention among scholars nowadays because the scholars in New Perspective on Paul and Federal Vision camps denies the imputation of the Christ`s obedience with willingness. Though WCF relaxed on the expression about the Christ`s obedience with willingness considering the opponents` stance at that time, it is better to view that the expression is reflected with phrases like complete obedience and entire satisf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