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조현병 환자를 대상으로 망상 유무에 따른 연합 재인 기억 과제에서의 수행 수준 및 반응편향, 오기억에 대한 확신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망상을 지닌 조현병 환자집단(이하 망상집단), 망상을 지니지 않은 조현병 환자집단(이하 비망상집단), 과거 및 현재에 정신과적 장애를 진단받지 않은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Jacoby 등(1993)이 제안한 과정 분리 절차(process dissociation procedure), 즉, 연합재인 과제(associative recognition task)와 항목재인 과제(item recognition task)를 실시하였다. 각 과제 당 32개의 단어쌍 중 16개의 학습 단어쌍(old)과 16개의 시험 단어쌍(new)에 대하여 정반응과 오반응 및 오기억에 대한 확신 정도를 집단 간 비교한 결과, 첫째, 연합재인 과정에서는 통제집단이 조현병집단보다 높은 재인 정확성을 보였으며, 조현병집단 내에서 망상집단 및 비망상집단 간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항목재인 과정에서는 통제집단과 비망상집단이 망상집단에 비해 높은 정확성을 보였으며, 이 때 통제집단과 비망상집단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 둘째, 반응편향과 관련하여 망상집단은 항목재인 과정에서만 보수적 반응편향, 즉 학습자극을 시험자극이라고 반응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연합재인 과정에서는 반응편향을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오기억에 대한 기억확신은 연합재인 과정에서 망상집단이 비망상집단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조현병의 망상이 연합재인 뿐만 아니라 항목재인 과정의 결손 및 오기억에 대한 확신에 기인할 수 있음을 시사하며, 그 이론적, 실제적 의의 및 제한점,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추가적으로 논의하였다.
This study compared performance level, response bias and confidence of false memory on associative recognition tasks in schizophrenia patients currently experiencing delusions(EDs), patients not experiencing delusions(NDs) and healthy control participants(HCs). Utilizing a process dissociation procedure(PDP) suggested by Jacoby et al.(1993), the study investigated differences among EDs, NDs, and HCs of associative recognition, response bias, and memory confidence. The assessment consisted of an associative recognition task and an item recognition task, with 16 old items and 16 new items each. The number of correct and incorrect responses in each task from EDs, NDs, and HCs were compared. As a result, first, during the associative recognition process, recognition accuracy in HC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EDs and NDs, whereas there was negligible difference between EDs and NDs. In the item recognition process, recognition accuracy in HCs and ND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EDs,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Cs and NDs. Second, EDs demonstrated conservative bias during item recognition process and no response bias in associative recognition process. Finally, confidence level in false memor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EDs than NDs in the associative recognition process, but not in the item recognition proces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item recognition process deficit and false memory confidence can be closely related to the formation of delusion. The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