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1
18.97.14.81
close menu
Accredited
프랑스 공공안전정책에서의 국가-지방자치단체간 협력적 지역 거버넌스
APTICLES : La gouvernance cooperative a l`echelon local entre l`etat et les collectivites territoriales dans les politiques puliques de la securite
오승규 ( Seung Gyu Oh )
법과 정책연구 vol. 13 iss. 3 1189-1210(22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2063989

12세기 프랑스에서 봉건영주의 권력을 의미하는 말에 기원을 두고 있는 거버넌스 관념은 1990년대 초에 들어 뭔가 더 효율적인 생산을 가능케 하는 장치라는 의미로 부각되기 시작하였다. 다의적 개념인 거버넌스는 게임의 장으로서의 공적 부문까지를 포함한 모든 사회구조를 다룬다. 여기서는 다양한 참여자들이 최선의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는 규칙에 의해 조직된다. 거버넌스는 오늘날 미해결된 문제들을 풀기위한 인적ㆍ물적 자원을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정의된다. 거버넌스는 통치보다 더 광범위하고 새로운 개념으로서 정부 메커니즘과 비공식적 조치들까지도 포함한다. 모든 결정사항들은 파트너로서의 사회적 행위자들 사이의 지속적인 협의에 의해 도출되어야 한다. 이러한 활동공간은 기업이 될 수도 있고, 국가나 기타 해결할 문제를 안고 있는 조직체도 될 수 있다. 경찰은 거버넌스의 대상이 공공질서에 대한 문제일 때 안전을 책임지는 주체이다. 고전적 의미의 안전은 한 국가의 영토 내로 한정되었지만, 안전에 대한 요청은 국경을 초월하는 문제이다. 거버넌스는 특히 협력적 방식을 중심으로 한 응집력 있고 역동적인 다양한 접근법을 연계하기 위한 모든 노력들을 망라하고 있다. 다양한 흐름을 관리하는 방식인 거버넌스는 필요한 경우 신속하면서도 신중한 경찰개입시스템을 요청하고 있다. 경찰이 그 교차점에 위치하고 있다. 프랑스에서 안전 문제는 공공안전정책의 결정과 시행을 담당하는 기관에 의해 집행되는 국가의 임무였다. 그러나 제2차 대전 이후 시행된 공공안전정책들은 국가가 이제는 협력적이고 수평적인 접근을 해 왔음을 보여주었다. 지역치안협약을 통한 협력이 전형적인 예이다. 프랑스의 경찰분야 지역 거버넌스의 특징 중에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간 계약에 의한 수평적 협력방식은 한국의 경찰개혁에 큰 참고가 될 것이다.

L`idee de gouvernance dont l`origine etant ne en France au XII siecle avec un sens de la direction des bailliages emerge au debut des annees 1990 comme une machine a produre de plus en plus efficace. La gouvernance qui est une notion polysemique traite toute structure sociale y compris le secteur public comme un espace de jeu. Ce dernier est organise par des regles que les differents participants doivent utiliser le mieux possible. Elle se definit aujourd`hui comme un systeme de gestion des hommes et des ressources pour resoudre les questions pendantes. La gouvernance se distingue du gouvernement. Elle est un phenomene plus large et nouveau que le gouvernement. Elle inclut les mecanismes gouvernementaux et les dispositifs informels, non gouvernementaux. Toute decision doit resulter d`une negociation permanente entre les acteurs sociaux, constitues en partenaires d`un vaste jeu. Le terrain de jeu peuvent etre une entreprise, un Etat, une organisation ou un probleme a resoudre. La police qui se charge des missions de la securite lors de troubles a l`ordre public fait l`objet de gouvernance. La securite classique est enfermee dans un territoire, celui d`un Etat. Mais l`exigence de securite se fait infinie et sans frontieres. La gouvernance couvre tous les efforts faits pour associer de maniere coherente et dynamique les differentes approches, notamment partenariale. La gouvernance, mode de gestion des flux, reclame des systemes de police intervenant rapidement et discretement en cas de necessite. La police se centre sur les points de passage En France, la securite etait une mission de l`Etat, exercee par des institutions chargees de decider des politiques publiques de securite et de les executer. Mais les politiques publiques de securite mises en oeuvre depuis la seconde guerre mondiale demontre que l`Etat a renforce l`approche partenariale dite aussi approche horizontale. Un partenariat avec les contrats locaux de securite(CLS) est un exemple typique. Parmi les traits de la gouvernance locale francaise dans le domaine de la police, le mode de cooperation horizontale entre l`Etat et les collectivites territoriales par les conventions peut servir de reference au reforme de police coreenn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