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2
18.97.14.82
close menu
Accredited
유치원 기관유형별 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직무만족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Self-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by Kindergarten Type
장영숙 ( Young Sook Jang ) , 김현미 ( Hyeon Mi Kim )
UCI I410-ECN-0102-2014-300-001636795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기관유형별로 유치원 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직무만족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근무하는 공립 유치원교사 131명과 사립 유치원 교사106명의 총 237명의 유치원 교사이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관유형에 따른 유치원 교사의 셀프리더십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공립유치원과 사립유치원 간의 셀프리더십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하위영역인 자연보상의 분별은 공립유치원 교사가 사립유치원교사보다 높았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기관유형에 따른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직무만족 전체와 하위영역인 보수와 승진기회에서 공립유치원 교사가 사립유치원 교사보다 높았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기관유형별 유치원 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직무만족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공립과 사립유치원 교사 모두 셀프리더십과 직무만족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공립과 사립유치원 모두 유치원 교사의 셀프리더십의 하위요인중 일의 좋은 면에 초점 맞추기가 직무만족을 의미있게 예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립과 사립유치원 모두 교사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일의 좋은 면에 초점맞추기를 통해 셀프리더십을 향상시키는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self-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by kindergarten typ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37 pub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in overall self-leadership score.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however,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the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in ‘discriminating natural compensation’ which is the subfactor of self-leadership. Second,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the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in overall score of job satisfaction and ‘salary and promotion opportunity’ which is the subfactor of job satisfaction. Third, the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self-leadership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ir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showed that ‘focus on the positive aspects’ was a significant factor in predicting both the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imply that the efforts for improving kindergarten teacher`s self-leadership by ‘focus on the positive aspects’ should be preceded in order to enhance their job satisfaction in both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