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주요목적은 감각적 존재인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수업에서 교수매체에 대한 기능적 접근에서 벗어나 유아의 복합감각이 능동적으로 일어나는 교수매체의 창조적 융합을 시도하고 그 가능성을 탐색하는데 있다. 창안적 융합에 사용되는 교수매체는 청각적 매체로써 내러티브와 음악 요소들, 시각적 매체로써 주제와 관련된 다양한 아름다운 영상과 사진, 촉각 및 공감각적 요소로써 구체물과 인형 등 다양한 소품으로 유아교육에서 늘상 사용되고 있는 교수매체들이다. 본 연구의 결과 교수매체의 창의적 융합은 통합지의 창출을 위한 배치였으며, 상투적인 매체마저도 새로운 해석과 창조가 가능한 심미적 매체로 변신시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는 교수매체의 창의적 융합이 유아의 심리로 최적화한 교수전략이며 유아의 몸을 존중하는 신체화된 교육과정으로써 유아의 학습을 심미적 경험으로 이끌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possibility for the creative convergence of teaching-media in order to the child can be used multiple senses in early childhood class. To achieve this, we pick out an educational topic in the Nuri curriculum and tried the convergence of creative teaching-media on the basis of principle of the senses. Data collection an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by the qualitative-research-process. All of this result First, Designed creative convergence of teaching-media works on matter for the integral knowledge creation to optimize the infant`s psychology, not mean of conveying fragmentary knowledge. Second, teacher have to ready for ‘adaptive expertise’ in order to create organic convergence of teaching-media. Thirty, convergence of creative teaching-media is possibility suggested to the embodied curriculum and aesthetic experience.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we suggest that the convergence of creative-teaching media can be a one way for conversion of esthetic education through the knowledge making specific meaning to the child and study for convergence of creative teaching media should be continued in order to have general experience to the child in the cla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