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18대 대선에서 나타난 유권자의 투표행태를 개괄적이고 종합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18대 대선에서의 유권자 투표행태를 사회경제적 요인, 정당지지, 이념, 이슈, 회고적 투표와 전망적 투표의 관점에서 빈도분석과 이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살펴보았다. 남성보다 여성 유권자가, 연령이 낮은 유권자보다 연령이 높은 유권자가, 타 지역 출신자 또는 거주자보다 부산·울산·경남 지역 출신자가, 진보적인 유권자보다 보수적인 유권자가, 민족적 차원에서 북한을 지원해야 한다는 의견에 찬성하는 유권자보다 반대하는 유권자가, 재벌이 스스로 개혁을 하지못하여도 기업 활동에 간섭해서는 안된다는 의견에 반대하는 유권자보다 찬성하는 유권자가, MB 정부에 대하여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유권자보다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유권자가, 가정의 경제제가 나빠질 것으로 전망하는 유권자보다 좋아질 것으로 기대하는 유권자가 박근혜 후보를 지지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voting behavior in the 18th Presidential election of Korea generally with frequency and b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analysis focuses on socioeconomic factors, the supporting party, ideology, issues, retrospective voting, and prospective voting. Female rather than male voters, older rather than younger voters, the Busan/Ulsan/Kyungnam Province-born rather than voters of other regions, conservative rather than progressive voters, voters against the opinion that South Korea should support North Korea because we are the same ethnic rather than the advocates, voters who support the opinion that government should not intervene with enterprise activities even though Chaebol cannot reform by themselves rather than the opponents, the positive reviewers for MB government rather than negatives, and the voters who expect the domestic economy to improve after 5 years rather than the other voters, were all discovered to be more likely to support Park Guen-Hye candid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