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39.80.200
3.139.80.200
close menu
}
KCI 등재
道倫(도륜)의 勝義諦(승의체) 五相門(오상문)에 관한 考察(고찰)-원측의 解深密經疏(해심밀경소) 와 비교를 통해서-
Do-Ryun(道倫)`s viewpoint of “The five marks(五相) of Paramartha-Satya”
서정인 ( Jung In Seo ) , 일현 ( Hyu Il )
동아시아불교문화 15권 117-144(28pages)
UCI I410-ECN-0102-2014-200-001565947

본 논문의 목적은 신라 출신으로 瑜伽師地論 의 주석서인 瑜伽論記를 찬술한 道倫의 勝義諦相에 관한 논리와 그 특징을 파악하는데 있다. 유가사지론 을 일명 廣釋諸經論 이라 한 것처럼 이 논장에는 여러 경론들이 수록되어 있다. 특히 解深密經 에서 「序品」을 제외한 7품 의 전부가 75권에서 78권에 걸쳐 인용되어 있으므로, 도륜의 유가론 기 에는 章疏의 형태는 갖추지 않았지만 유가사지론 전체를 주석했 으므로 자연 해심밀경 에 대해서도 주석한 셈이 된다. 첫 품인 「勝義諦相品」은 보살들이 부처님과 다른 보살들에게 청문하는 형식으로 되어있으며, 勝義에 관한 5種相의 의미를 4가지의 문답 내용으로 나누어서 설명하고 있다. 승의제 5상이란, 離名言相,無二相[離 言無二相],超過尋思所行相,超過諸法一異性相,遍一切一味相등 이다. 즉, 진리, 진여로 대변되는 ‘승의’는 名言과 言辭등을 떠난 형상이고, 유 위와 무위의 두 형상도 존재하지 않는 것이며, 心識의 尋思작용을 초월 한 형상이고, 모든 존재의 같고 다름의 性相을 초월한 형상이며, 일체제 법에 한 맛인 성품으로 두루 존재하는 것을 말한다. 도륜의 주석은 대체적으로 상세한 해설보다는 간략하게 풀이하고 있으며, 많은 경론의 인용 내용도 잘 보이지 않는다. 다만 ‘離名言相’에서 深密解脫經 과 解節經을 인용하고 있고,‘無二相’에서 犢子部의 五法 藏說가운데 不可說法藏을 들어서 파척한 내용은 원측의 章疏에서도 보 이고 있어서 원측의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추측된다.‘遍一切一味相’에 서만 ‘景師云’과 ‘璟師云’이라 해서 직접 논사 이름을 명시하여 인용되고 있다. 도륜이 주석한 해심밀경 의 「승의제상품」을 살펴보았지만, 앞으로 도륜에 관한 연구가 더 활발하게 전개되어서 그의 진면목을 파악할 수 있는 성과가 나오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Do-Ryun`s viewpoint of "The marks of Paramartha-Satya(勝義諦相)". We can say that Do-Ryun`s Yu-Jia-Lun-Ji(瑜伽論記) also mentioned Samdhinirmocana Sutra because it commented on whole Yogacarabhumi-sastra, even though it did not take the form of a commentary. The five marks of Paramartha-Satya are ①"the mark of freeing from names"(離名言相), ②"the mark of not two"(無二相), ③"the mark of transcending what thoughts make"(超過尋思所行相), ④ "the mark of transcending the same and different attributes of all existences"(超過諸法一異性相), ⑤ "the mark of existing everywhere equally"(遍一切一味相). He quoted just Shen-Mi-Jie-Tuo-Jing(深密解脫經) and Jie-Jie-Jing(解節經) in ①. But because it is hard to find the original text, the credibility of the quoted text is undermined. In ②, Do-Ryun rejects two marks of "created"(有爲) and "uncreated"(無爲) through "ineffable store of dharma"(不可說法藏) in Vatsi-Putriya(犢子部) and the similar tendency is seen in the Won-Check(圓測)`s Commentary. And "the mark of existing everywhere equally"(遍一切一味相) quoted twice using two great theorist names as "Jing-Shi says"(景師云) and "Jing-Shi says"(璟師云) Therefore, I think that Do-Ryun`s writing was affected by Won-Check. My study on Do-Ryun is limited to Paramartha-Satya. However, I hope that the study on Do-Ryun will be expanded for the futur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