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태아애착 척도(Maternal Fetal Attachment Scale; MFAS)의 타당화 연구를 실시했다. 1980년대 부터 국내에서 Cranely(1981)의 MFAS를 번안해서 사용해 왔으나, 원래의 MFAS의 5점 척도를 4점척도로 변환하고, MFAS의 문항을 추가하거나 생략하는 등 MFAS의 타당화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했다. Sjorgen 등(2004)은 Cranely(1981)의 MFAS 24문항 중에서 임신 초기와 후기의 애착을 측정하기에 적합한 17문항을 선택해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했다. 본 연구는 Sjorgen 등(2004)의 MFAS 17문항중 남녀 아기에게 동일한 내용을 중복 질문한 1문항을 제외한 총 16문항을 박주희 등(2001)의 연구를 참고해 번역하고, 영어와 한국어에 능통한 발달심리학 석사 졸업생 1명의 검토와 수정을 거쳐 본 MFAS를 구성했다. 연구 결과 첫째, 본 MFAS 16문항의 전체 신뢰도 계수(Cronbach α)는 .94, 하위 척도의 신뢰도 계수의 범위는 .75-.82로 전반적인 신뢰도가 ‘보통 하’나 ‘보통’ 수준이었다. 둘째, 본 MFAS의 구성타당도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Sjorgen 등(2004)의 요인구조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자신과 태아의 구별, 태아와의 상호작용, 태아의 특성과 의도추측, 자기제공, 역할취득 등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MFAS의 요인 구조 모형의 적합도와 간명성이 ‘좋은’ 수준으로서 구성타당도가 검증되었다. 셋째, 임신 36주에 측정한 MFAS와 출산 6개월 후에 측정한 산후 우울(산모-아기 산후 애착과 관계 깊은) 척도와의 단순상관 분석 결과, 본 MFAS의 하위 요인인 태아의 특성과 의도추측, 자기제공이 산후 우울과 보통 이상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MFAS의 예언타당도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The present study established the validity for the Maternal Fetal Attachment Scale (MFAS) for use with Korean mothers during pregnancy. The Maternal Fetal Attachment Scale (MFAS) (Cranley, 1981) was translated into Korean, and it used revised items that were rated on a 4-point Likert scale (unlike the original MFAS that used a 5-point Likert scale). Therefore,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not sufficiently established for the Korean translation. Sjorgen et al. (2004) selected 16 items useful for measuring early and late attachment during pregnancy from a total of 24 items in Cranley`s MFAS.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validate the MFAS based on Sjorgen et al.`s study using 16 items, previous research, and bi-lingual expert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the total Cronbach`s α of MFAS 16 items was α = 0.87, with 0.75 ≤ α < 0.87. Additionally, the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MFAS indicated a good model fit and model economy, implying that it has good construct validity. Furthermore,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otal and sub-dimension MFAS scores and post-partum depression at 6 months were obtained, indicating good predictive validity.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