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롬은 여러 산업으로 배출되어 수 환경을 오염시키는 주요 중금속 중 하나이며, 특히 Cr(Ⅵ)은 수용액 내에서 주로 크롬산 이온으로 존재하며, 생체막을 쉽게 통과하여 산화 스트레스 및 생체 축적을 일으킨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숭어를 대상으로 그들의 혈액성분의 변동에 미치는 크롬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RBC count 및 Ht 값은 50 ㎍/L Cr 농도에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냈으나, Hb 농도의 유의한 변동은 관찰되지 않았다. 혈청 칼슘농도는 50 ㎍/L Cr의 농도에서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고, 마그네슘농도는 100 ㎍/L Cr의 농도에서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 Glucose 및 total protein 농도는 가장 높은 크롬농도인 200㎍/L Cr에서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으나, 중성지방인 triglyceride 농도는 노출기간 동안 유의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GOT 및 GPT 활성은 100 ㎍/L Cr 이상의 농도에서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고, ALP활성은 가장 높은 크롬농도인 200 ㎍/L Cr에서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숭어의 혈액성상과 혈청 무기성분은 크롬 농도 50 ㎍/L 이상, 혈청유기성 분과 효소성분은 크롬농도 100 ㎍/L이상에서 변동이 나타나는 것으로 결론 내릴 수 있다.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hematological parameters induced by waterborne exposure of chromium (Cr) in the mullet, Mugil cephalus. The mullet was exposed to sub-chronic concentrations of chromium (0, 25, 50, 100, 200 ㎍/L Cr) for 4 weeks. The major hematological findings were significant decreases in the red blood cell (RBC) count and hematocrit value in mullet exposed to ≥50 ㎍/L Cr. Although serum calcium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at ≥50 ㎍/L Cr, magnesium concentration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increased at ≥100 ㎍/L Cr. The serum glucose and total protein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t 200 ㎍/L Cr. However, serum triglyceride concentration did not show any noticeable changes in the range of 25∼200 ㎍/L Cr of chromium compared to control group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A significant increment of GOT (glutamic oxalate transminase) and GPT (glutamic pyruvate transminase) activities was noticed at ≥100 ㎍/L C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hematological and serum biochemical changes in the mullet by waterborne exposure to chromium are affected at more than 50 ㎍/L C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