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9
18.97.14.89
close menu
Accredited
주목해야할 새로운 연구접근들 : 이주노동자의 인권보호를 위한 이론적 논의와 국제적 실천의 시사점 -문화다양성과 인권의 관점에서-
Implications of Theoretical Discussion and International Experiences for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of Migrant Workers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Diversity and Human Rights
임운택 ( Woon Taek Lim )
UCI I410-ECN-0102-2014-300-001587102

지난 수년 동안 ‘다문화주의’의 관점에서 다양한 다문화정책이 시행되어왔으나 이주노동자들의 인권문제는 전혀 개선되지 못하고 있다. 이 논문은 다문화주의에서 포착되기 힘든 보편적 인권이 ‘문화 다원주의’의 관점에서는 문화다양성의 지속을 위한 기본적 가치임을 강조한다. 이를 위해 문화다양성과 인권의 상관관계를 이론적으로 검토하고 동시에 그러한 관점에서 인권의 실천적 개입 가능성을 열어놓은 두 가지 중요인영역, 즉 UNESCO ‘문화다양성 협약’과 UN의 ‘글로벌이주위원회’의 의미를 규명한다. 문화다양성의 관점에서 인권을 개선하려는 실천적 노력은 EU에서 가장 적극적으로 진행되었는 바, 이 글에서는 임시적 이주노동자들의 인권개선을 위한 다양한 담론영역(노동착취 방지, 이주의 재진입 선택 개방, 이주노동자들에 대한 국가의 정보권제공, 젠더친화적인 이주정책, 가족의 공동이주권, 건강권 보호, 사회보장권 보호, 난민보호와 국제보호기준 준수)을 간략하게 살펴보고, 이러한 EU의 인권담론이 국내 이주노동자의 인권개선에 미치는 함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Although various multicultural policies during last years are initiated in the light of multiculturalism, there is still no sign of improvement in the human rights of migrant workers. In contrast to the background, this article will assert that the universal human rights hardly grasped in the concept of multiculturalism could in the light of cultural pluralism be basic value for the keeping of cultural diversity. For this purpose, we will examine at first corelation between cultural diversity and human rights theoretically. Furthermore, we will take a close look at two important spheres opening practical way of intervention namely, ``Convention on the Protection of the Cultural Contents`` of the UNESCO and ``Global Commission on International Migration`` of the UN. Because practical efforts to make better human rights of the migrant workers have been put in force actively in the EU, we need to observe briefly various discourse sectors for the improvement of human rights like avoidance of labour exploitation, opening up ``return option`` of temporary migrant workers, offering right to information by the state, gender-sensitive migration policy, protection of the right to health and social security, protection of refugee, etc. After that, we would find out to what extent these discourses of human rights in the EU will have influence on improvement of migrant workers in Korea.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