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2.161.239
3.12.161.239
close menu
}
KCI 등재
독립근로자의 경력개발 의미와 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Independent Workers` Career Development Process
이수용 ( Soo Yong Lee ) , 장원섭 ( Won Sup Chang )
HRD연구 15권 4호 27-48(22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675634

이 연구는 독립근로자의 경력개발의 의미와 과정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독립근로자들은 스스로 경력개발을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가, 독립근로자들의 경력개발 과정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연구문제를 위하여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총 9명의 연구대상자를 선정하여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서는 Glaser & Strauss(1968)가 근거이론을 발전시킬 의도로 개발한 일정비교분석(Constant Comparative Theory)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독립근로자들은 스스로의 경력개발에 대해서 수평적 업무 영역 확대를 의미하는 넓이의 확장과 새로운 일을 위한 준비기로 생각하고 있었다. 반면 전공 또는 업무의 특성 상 경력개발 자체에 전혀 관심을 두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독립근로자들이 인지하고 있는 경력개발 과정은 느슨한 사회적 관계의 이용, 학연과 직연 등 연고주의적인 성격을 띠고 있는 집단의 도움, 들어오는 일의 내용과 수입의 안정성, 타인으로부터의 인정으로 경력개발을 이루어 나가고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독립근로자들의 경력개발은 전통적인 임금근로자의 경력개발 방식과는 차이가 있지만, 독립근로자들의 경력개발과정을 살펴보면결국 조직 내 경력개발은 개인의 책임만으로는 단정할 수 없음을 시사한다. 또한 독립근로자는 결코 독립적인 존재가 아니며 이러한 비독립성은 독립근로자들의 경력개발 과정이 타자의존적일 수밖에 없음을 보여준다. 이들의 경력개발은 업무 숙련도나 개인적인 성장과 학습을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독립근로자로서의 존속 자체를 목적으로 독립근로자들의 경력개발은 무엇보다 학력과 직연 등 연고주의적인 사회적 관계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었다.

This qualitative study examined how independent workers achieve career development. Afterwards, the selected research subjects were interviewed. A total of 9 people were selected as the final research subjects. For data analysis, this study used the constant comparative theory, which was developed by Glaser & Strauss(1968) with the intention to develop the Grounded Theory.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definitions of the career development process of the independent workers?, Second, what are the key factors of the developed career as an independent worker? The career development forms of an independent worker using the social networks can be classified into 3 types. The first type is constructing a personally differentiated domain to make efforts to expand one`s coverage. The second type of career development form is to understand it as a process for switching to another field or for changing jobs. Lastly, an independent worker may not be interested in the career development process itself. The important factors for career development include using the loose networks to notify the change in one`s position, and the nepotism based on the school-firm ties. In addition, since there are no objective indicators to verify one`s level of career development, subjects determined their own standard through the content of work, stability of income and recognition of others. This study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First, an independent worker cannot be viewed as independent beings. Second, an independent worker possess inherent limitations due to in-group properti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