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220.184.0
18.220.184.0
close menu
}
KCI 등재
고교 검도선수의 심리기술훈련이 정신력과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on mental power and pertormance with high school Kumdo players
김윤태 ( Yun Tae Kim ) , 김기정 ( Ki Jeong Kim ) , 설영환 ( Young Hwan Seol ) , 전병덕 ( Byung Duk Jeon )
UCI I410-ECN-0102-2014-600-002030685

본 연구는 고등학교 검도선수들을 대상으로 24주간의 심리기술훈련과 8주간의 추적조사를 실시하여 정신력 요인과 경기력 효과 및 지속성 차이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판단표본추출(judgment sampling) 방법을 이용하여 현재 고등학교 3학년에 재학중인 남자 검도선수 4명을 연구 참여자 및 내담자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는 질적 분석 방법을 위해 면담과 개방형질문지(open-ended quesiton)를 사용하였으며, 심리기술훈련의 효과 및 지속성을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 t 검증(paired sample t-test)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심리기술훈련을 받고난 후 정신력요인이 높아 졌고, 지속성에서도 심리기술훈련의 효과에 지속성이 높아 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심리기술훈련을 받은 선수들은 계속해서 자기 스스로 심리기술훈련을 하고 있다는 것을 입증해주고 있으며, 심리기술훈련 전과 후의 경기 성적 비교에서 개인전 16강 진출을 하여 선수들의 경기력이 향상되었다고 할 수 있다. 단체전에서는 성적 향상을 나타내진 않았지만 모든 시합에서 보다 낳은 성적을 거둘 수 있다는 긍정적인 생각을 갖게 해주는 계기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24 weeks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on mental power and performance using the 8 weeks follow-up survey. We selected 4 male high school Kumdo players for the subjects in this study, conducting a judgment sampling method. As measurement tool of this study, interview and questionnaires with open-ended questions were used as a qualitative analysis method, and paired sample t-test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and continuity of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After receiving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the level of mentality factors increased and continuity also increased, which are effects of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In addition, it was demonstrated that athletes who have received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continuously engage in the training on their own and their performance increased, since they made it to the individual top 16 events, when their performance was compared before and after their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Although they didn`t show improvements in team events, this study would make athletes hopeful that they could perform better in all games with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