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다수의 유럽연합 국가들은 공적연금과 사적연금으로 구성된 다층노후소득보장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노후소득보장지출 규모는 GDP 대비 약 12%로 유사한 수준이다. 그러나 그들의 노후빈곤문제는 국가에 따라 상당히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그렇다면, 어떤 국가들이 적정하며 지속가능한 안정적인 노후소득보장제도를 운영하고 있는가? 이러한 문제제기 하에, 본 연구에서는 유럽연합 국가들의 노후소득보장제도를 적정성과 지속가능성을 두 축으로 하여 유형화를 수행하였다. 유형화 결과 네덜란드와 스웨덴은 급여수준이 적정하고 재정적으로 지속가능한 안정적인 노후소득보장제도를 운영하는 국가로 분석되었다. 이들은 공적연금의 기능이 강화되어 있으며, 사적연금의 성공적인 지배구조를 특징으로 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multi-pillar pension regimes in EU focused on adequacy and sustainability and to analyse the characteristics. Thus, first of all, previous literature is reviewed and adequacy and sustainability is defined. Then, I analyse multi-pillar pension regimes with fuzzy-set ideal type analysis. After choosing four representative states (the Netherlands, France, UK, and Greece) in each regime, the characteristics in each regime are examined. As a result, the Netherlands and Sweden are analysed as a regime having adequate and sustainable pension system. France and Germany are characterized as states having adequate and unsustainable pension system. And UK and Finland are analysed as a regime having inadequate and sustainable pension system. But Greece and Italy including southern European countries are characterized as states having inadequate and unsustainable pensio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