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117.142.218
18.117.142.218
close menu
}
취금헌박팽년(醉琴軒朴彭年)의 생애(生涯)와 절의정신(節義精神)
Chuikeumhun Park pangyun`s lifetime and fidelity
김경수 ( Kyung Soo Kim )
유학연구 13권 1-25(25pages)
UCI I410-ECN-0102-2014-100-001562514

순천(suncheon) 박팽년은 아버지 중림(jungrim)과 어머니 안동 김익생(kim iksang)의 딸 사이에 다섯 아들 중 長男으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학문이 뛰어났던 그는 17세 때 문과(munkoa)에 及第한 이후 곧바로 집현전(jiphyeonjeon)에 拔擢되었다. 2代에 걸쳐 다섯 명의인사가 집현전 學士로 발탁되었던 사실, 집현전에서 주관하였던 다양한 편찬 사업에 참여했던 점, 그리고 경연관(kyeongyeonkwon)과 서연관(seoyeonkwon)으로 활동하였던 사실에서 박팽년의 학문과 家門의 學風이 상당했음을 알 수 있다. 학문적인 면에서는 집현전에서 주관한 각종의 편찬 사업에 참여하면서 儒敎化와 民族史의 體系化에 크게 기여하였다. 유교이념의 확립에 노력했던 그가 유교 이념의 근본 질서를 무너뜨리는 경우에 대해서 목숨을 걸고 지키려고 했다. 즉 세조(seojo)의 왕위 찬탈시 명분을 바탕으로 절의정신을 실천하였던 태도는 이러한 정신의 표현이다. 박팽년을 비롯한 사육신(sayuksin)들이 제거하고자 했던 세조가 공주(kongju)의 동학사(donghak-temple)에 초혼각(招魂閣, invocation of the spirits of the dead)을 짓고 사육신을 위로하였던 사실이나, 후일 성종(seongjong)이 박팽년의 血孫(descendants)을 赦免(pardon)하고 그에게 ‘일산(ilsan, 壹珊)’이라는 이름을 지어주었다. 이러한 사실은 加害者인 세조와 後代의 왕들이 사육신의 擧事를 叛逆이 아닌 義擧로 인정했음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박팽년은 조선 초기를 대표하는 학자의 한 사람으로, 정국운영의 한 복판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발휘한 정치가였다. 따라서 그의 정치관은 단순히 박팽년 개인의 현실 의식으로만 이해되는 것이 아니고, 조선 초기 명분과 도덕성을 상실한 政權에 대한 인식 태도, 즉 현실을 고민하는 사대부(sadaebu) 관료(bureaucrat)의 정치사상과 정치의식을 代辯한다고 할 수 있다.

Suncheon(順天) Park Pangyun was born as the eldest son among 5 boys of his father Jungrim(仲林) and his mother who is the daughter of Andong(安東) Kim Ik-sang. Park Pangyun was so bright since young that he passed the examination of Munkoa(文科) and soon he was selected in Jiphyeonjeon(集賢殿). For 2 generations, 5 members of his family had been selected for scholars in Jiphyeonjeon. They participated in many compiling works there and they also became Kyeongyeonkwon (經筵官) and Seoyeonkwon(書筵官). From these facts we can recognize that the studies of Park Pangyun and the academic features of his family were great. Academically, he participated in many compiling works in Jiphyeonjeon and contributed a lot in spreading confucianism and systematizing the history of the nation. He tried to establish the ideology of confucianism and risked his life to defend it from the threat of destryoing its basic rule. The attitude of keeping his fidelity when Seojo(世祖) usurped the throne was the expression of these thoughts. Seojo whom the Sayuksin(死六臣), including Park Pangyun tried to kill, built the invocation of the spirits of the dead in Donghak-temple(東鶴寺) of Kongju(公州). And later, Seongjong(成宗) pardoned the descendants of Park Pangyun and named him ``Ilsan(壹珊)``. These facts are showing us that Seojo, the harmer, and other kings in later ages considered the rebellion of the Sayuksin as heroic deed not as high treason. Park Pangyun was a scholar who represented the early years of Chosun Dynasty. He influenced greatly in assuming the helm of government. Thus, his politics is considered not only as an individual awareness, but also as the attitude of recognizing the political power which lost justification and morality in the early days of Chosun dynasty. In other words, he spoke for the political ideas and awareness of Sadaebu(士大夫) bureaucrat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