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218.238.244
18.218.238.244
close menu
}
KCI 등재
부산광역시 명지주거단지 완충녹지가 거주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Resident Satisfaction Regarding Buffer Green Space at Meoyng-ji Multi-family Housing in Busan Metropolitan City
양건석 ( Geon Seok Yang )
UCI I410-ECN-0102-2014-500-001829585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구매가 불가능한 자료입니다.

주거지역의 완충녹지는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하나의 메커니즘인 동시에 거주생활 만족에도 중요하고 다양한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거환경의 환경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설치하는 완충녹지를 대상으로 거주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계획적으로 완충녹지가 설치되어 있는 명지주거단지의 거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한 완충녹지가 가지고 있는 요인을 파악하고, 거주생활 만족도와의 인과관계를 분석했다. 분석은 사회과학 통계 패기지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21을 사용하여 요인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명지주거단지 완충녹지의 역할은 주거 쾌적성, 방재성, 녹지 이용성, 환경 생태성의 네 가지 요인으로 결정되었으며, 전체 누적 요인 기여율은 62.48% 중 주거쾌적성 기여율이 40.54%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거주생활 만족도와는 주거 쾌적성과 녹지 이용성이 다소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방재성과 환경 생태성은 유의확률이 각각 0.725와 0.898로 다중회귀분석의 선호요인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주거 쾌적성과 녹지 이용성을 높이기 위한 완충녹지 조성이 거주생활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Buffer green space in the residential area is a mechanism for improv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also significant for residential life satisfaction and its various social roles. Accordingly, this study aimed to discover the effect of the buffer green space, which was established to minimize environmental influences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n residential life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residents in Myeongji Residential Area where the buffer green space was installed, to examine the factors of the buffer green space and to analyze its causal relation with residential life satisfaction. The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21 program was used for analysis and factori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executed. As a result, the roles of the buffer green space in Myeong-ji Residential Area included residential comfort, disaster protection, green space usability and environmental ecological property. In the overall accrued factorial contribution rate, residential comfort was very high with 40.54% out of total 62.48%. In addition, the residential comfort and green area usability had a higher correlation with residential life satisfaction. However, the significant level of disaster protection and environmental ecological property were 0.725 and 0.898, respectively, which were not significant as a preference factor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ly, the buffer green space for improving residential comfort and green space usability was confirmed to enhance residential life satisfacti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