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관료제를 비롯한 공공부문에서는 업무의 효율성 제고, 위험요소로부터의 자산보호, 그리고 규정과 방침의 준수 등을 달성할 수 있는 일상적 종합적 조직관리체계인 내부통제에 대해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이와 같은 관심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공공부문의 내부통제에 대한 연구는 이론적 개념적 차원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내부통제와 관련된 관리체계와 원칙, 그리고 본 제도가 나아가야 할 방향 등에 대한 실질적인 논의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문제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내부통제가 지니고 있는 개념적 특성과 현황에 대해서 논의할 뿐만 아니라, 미국과 영국의 내부통제제도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공공부문의 내부통제제도 수립에 필요한 개선방안을 탐색적으로 모색하였다. 논의 결과, 본 논문은 내부통제제도의 효과적 운영을 위해서는 공공부문에 적용할 수 있는 통합된 규범으로서의 명확한 내부통제기준의 수립을 제안하였다. 또한, 관리자, 업무부서, 그리고 감사기구 등 내부통제활동에 대한 기관 내부의 명확한 분담체계의 확립과 더불어, 운영활동에 대한 점검 및평가절차 등에 대한 체계적인 구축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평가활동의 핵심주체로서 기관 자체감사기구의 역량 및 지원활동을 강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