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3
18.97.9.173
close menu
Accredited
개방형 임용제도의 성과향상을 위한 정책대안의 우선순위
최순영 , 조임곤
UCI I410-ECN-0102-2014-300-001689690

개방형 임용제도의 성과향상을 위한 정책대안들을 도출하기 위해 먼저 선행연구를 통해 개방형 임용제도의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이를 토대로 개방형 임용제도에 대하여 연구경험이 있는 인사행정 전문가 자문회의를 개최하여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개방형 임용제도의 성과향상을 위한 정책대안들을 도출하였다. 정책대안은 정책의 특성에 따라 기반 인사시스템 개선, 제도적 개선, 운영상의 개선으로 분류하여 상위정책과 하위정책대안으로 재구성하였다. 이들 정책대안에 대하여 학자와 공무원을 대상으로 국내 인사행정 전문가에게 정책대안의 우선순위를 9점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통해 조사하였다. 설문조사 결과에 대하여 정책대안의 우선순위에 대한 AHP 분석을 실시한 결과에 의하면, 기반 인사시스템개선, 제도적 개선, 운영상 개선의 중요성에 관하여 기반 인사시스템이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하고 있다. 기반 인사시스템 개선의 하위 정책대안들에 대하여는 견제와 균형에 의한 인사시스템 설계를 가장중요하다고 응답하고 있으며, 제도적 개선의 하위 정책대안들에 대하여는 임용과정 공정성 확보를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하고 있다. 운영상 개선의 하위 정책대안들에 대하여는 업무환경 및 상호존중을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하고 있다. AHP를 이용한 정책대안의 우선순위 분석결과는 개방형 임용제도의 성과향상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기반 인사시스템의 개선을 통한 근원적인 접근이 가장 중요하다는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고 있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