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189.29.43
18.189.29.43
close menu
}
KCI 등재
어머니의 양육태도, 의사소통, 자아존중감과 자녀의 틱 증상 심각도의 관계: 자녀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arenting Attitude, Communication, and Self-esteem and Tic Severity in Children with Tic Disorder: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ren`s Self-esteem
조성희 ( Sung Hee Cho ) , 김미자 ( Mi Ja Kim )
청소년학연구 20권 8호 203-224(22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668435

본 연구는 첫째로 어머니의 양육태도, 의사소통, 자아존중감이 자녀의 틱 증상 심각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둘째로 자녀의 틱 증상 심각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 변인과 틱 증상 심각도 간의 관계에서 자녀의 자아존중감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탐색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와 충청북도에 소재한 한의원, 정신과의원, 아동·청소년상담소에서 틱 증상으로 치료 또는 상담을 받고 있는 아동 및 청소년과 그 어머니 5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상관분석, 단순회귀분석, Baron과 Kenny의 매개 효과 분석을 실시하여 연구문제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의 애정적, 자율적 양육태도, 개방형 의사소통, 자아존중감은 자녀의 틱 증상 심각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고, 어머니의 거부적 양육태도와 문제형 의사소통은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 중 문제형 의사소통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틱 증상 심각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 변인들과 자녀의 틱 증상 심각도 간의 관계에서 자녀의 자아존중감이 모두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녀의 자아존중감은 애정적, 거부적, 자율적 양육태도와 틱 증상 심각도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틱 증상 감소를 위한 개입방법과 연구의의 및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maternal parenting attitude, communication, and self-esteem on tic severity in children with tic disorder. Also, it was investigated whether child`s self-esteem has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related with mother having found to predict tic severity and tic severity. Data were collected from 54 children diagnosed with tic disorder and their mothers in Gyeonggi and Chungbuk provinces. For the analyses of the data, we used the correlation, the regression, and the test for mediating effect by Baron and Kenn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aternal affective and autonomous parenting attitudes, open communication, and self-esteem had positive influence on tic severity, maternal rejective parenting attitudes and problematic communication had negative influence, and problematic communication had the biggest influence.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related with mother, child`s self-esteem had mediating effects. In special, child`s self-esteem had full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affective, rejective, and autonomous parenting attitudes and tic severity. We discussed the intervention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further studies based on the result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