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청소년의 인터넷음란물선호성과 위험 성행동 간의 관계 및 그 관계성에서 나타나는 성차를 알아보고자 한다. 인터넷음란물선호성이란 ‘인터넷 서비스 중 주로 성인콘텐츠를 이용하는 성향’을 말한다. 위험 성행동으로는 이 성과의 성관계, 동성과의 키스나 애무, 동성과의 성행위, 술마신 후의 성관계, 피임하지 않고 하는 성관계, 임신경험, 성병감염경험, 성폭력가해경험 등 8개 행동이 포함되었다. 연구자료는 전국 74,186명의 중고생을 대상으로 시행된 2012‘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조사’의 원자료를 사용하였다. 위험 성행동여부를 반응범주로 하는 로지스틱 회귀분석에는 청소년의 인터넷사용시간과 성, 연령을 포함한 개인특성변수, 청소년의 거주지, 학교 및 가족환경의 특성을 반영하는 변수들이 공변량변수로 포함되어 청소년의 위험 성행동에 미치는 인터넷음란물선호성의 조정된 영향력을 볼 수 있도록 하였다. 분석결과, 인터넷음란물선호성은 청소년이 두가지 이상의 위험 성행동을 경험할 가능성을 예측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독립변수들 중 위험 성행동 가능성에 대해 가장 높은 승산비(OR=2.58)를 나타냈다. 이러한 경향은 남자보다 여자청소년에게서 더욱 강하게 나타나, 8개 위험 성행동별 인터넷음란물선호성의 승산비를 성별로 비교해보면 남자청소년은 2.11~4.45, 여자청소년은 2.64~32.68의 승산비를 나타냈다. 따라서, 인터넷음란물선호성은 개인특성 및 환경변인, 인터넷사용시간 등이 고려된 상태에서도 청소년의 위험 성행동을 예측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이며, 이러한 인터넷음란물선호성의 영향력은 여자청소년에게서 보다 강하게 나타난다고 결론내릴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internet pornography preference and adolescents` sexual risk behavior. “Internet pornography preference” refers to the behavior of pornography consumption as a primary usage of the internet. For this study, raw data from 2012 Korean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KYRBWS), in which 74,186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were analyze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pornography preference and the sexual risk behavior adjusted for adolescents` self, family, school and region variables. The odds ratio for two or more sexual risk behaviors and pornography preference was 2.56, which is the biggest OR for sexual risk behaviors among all 13 independent variables. Notable gender differences were observed. The odds ratios for various sexual risk behaviors and pornography preference were 2.11~4.45 among boys, while 2.64~32.68 among gir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