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사회에서 청소년 지위비행은 청소년 시기에 흔히 발생할 수 있는 비행 중 하나이다. 특히 비행이론에 근거한 청소년 지위비행의 원인을 규명하려는 연구는 많지 않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최근 가장 많이 검증되고 있는 차별접촉이론, 일반긴장이론, 사회유대이론을 사용하여 한국 청소년 지위비행의 원인을 밝히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연구 자료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2009년과 2010년에 수집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중1과 중2 자료를 사용 하였다. 다중회귀분석결과, 사회유대이론과 일반긴장이론의 변인들은 청소년 지위비행 변량의 2.9%와 3.5%만을 설명했지만 차별접촉 변인들은 지위비행 변량을 16.3%를 설명함으로써 가장 설명력이 뛰어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통합회귀분석 모델에서 차별접촉 변인들이 통합모델에서 제외될 때 회귀방정식의 결정계수가 현격하게 떨어지는 것을 발견함으로써 차별접촉 변인들이 청소년 지위비행을 가장 잘 설명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본 연구는 청소년 지위 비행을 잘 설명할 수 있는 세 가지 비행이론을 적용하여 한국 청소년 지위비행의 원인을 파악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특히 차별접촉이론의 친구와의 차별적 접촉변인이 지위비행을 가장 잘 설명함으로써 차별접촉이론에서 제시하는 지위비행 예방프로그램이 우리 사회에서도 큰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사실을 암시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ree criminological theories including Sutherland`s differential association theory, Agnew`s general strain theory, and Hirschi`s social bonding theory and which one is the best predictor of the causes of adolescents` status offenses in Korea. The data derived from a sample of 2,280 middle school students taken from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in 2009-2010. Multiple OLS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variables from differential association theory were strongly supported as an explanation for adolescents` status offenses, while variables from general strain and social bonding theory were not supported. When differential association variables are excluded from the full equation model, the change in R2 is rapidly down, explaining that differential association variables are the best impact on dependent variables than other theories. The important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is the first study to test three major theoretical models of adolescents` status offenses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