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69
18.97.9.169
close menu
Accredited
우리나라 Street Dance 발전 과정에서 본 청소년의 수용 인식과 교육적 의미
Studies on Adolescents` Acceptance Recognition and Educational Significance Observed in Development Process of Street Dance in Korea
이정연 ( Jeong Yeon Lee ) , 김정은 ( Jeong Eun Kim )
UCI I410-ECN-0102-2014-600-002031142

본 연구는 스트릿 댄스의 전개 및 발전, 현황을 청소년의 수용과 교육적 의미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각종 단행본, 논문, 신문, 인터넷 기사 등을 중심으로 하여 이론적 배경에 두었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으로부터 스트릿댄스의 전개에서 살펴볼 수 있는 청소년의 수용 인식, 교육적 의미들을 논의 하고자 했다. 그 결과 첫째, 도입기(1980년대 후반~1990년대 후반)에는 청소년들의 ’저항‘, ’탈주‘, ’해방‘의 정서를 반영한 문화였다는 것, 둘째, 발전기(2000년~2010년)에는 우수한 국제대회로부터의 수상, 공연문화로의 정착 등 자생적, 창의적 문화콘텐츠로의 발현이 이루어졌다는 것, 셋째, 정착기(2010년~현재)에서는 학문적 체계의 노력이 시도되는 단계였음을 볼 수 있었다. 아울러 체육교육과정의 프로그램으로 개방성이 요구된다는 점, 공연예술로 발전시키되 스트릿 댄스 본래의 정신을 계승할 필요가 있다는 점 등을 본 연구의 고찰을 통해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xpansion, development and current state of street dance focused on adolescents` acceptance and educational significance. It also form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cused on various books, dissertations, newspapers and online articles for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the adolescents` acceptance recognition and educational significance observed in the expansion of street dance based on these theoretical background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a culture reflecting the adolescents` sentiments such as ``resistance,`` ``escape`` and ``emancipation`` in the introductory period (from the late 1980s to the late 1990s), second expression to the spontaneous and creative cultural content was made such as awards from excellent competitions and settlement to performance culture in the developmental period (from 2000 to 2010), and third efforts on academic system were made in the settlement period (from 2010 to the present). Furthermore, this study showed that openness was required as the program of physical education program and the original spirit of street dance needed to be inherited in spite of development into performance art.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