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성인에서 안구와 두부의 외상 및 수술과 같은 외부 요인이 없이 급성으로 발생한 수직사시의 임상양상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의무기록지를 통한 후향적 연구로 안구와 두부의 외상 및 수술과 같은 외부 요인이 없이 3개월 이내에 급성으로 발생한 성인의 수직사시 환자들 중 6개월 이상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7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원인불명이 41명(57%)으로 가장 많았으며 4번 뇌신경마비가 15명(20.8%), 중증근무력증이 7명(9.7%), 3번 뇌신경마비가 6명(8.3%), 뇌종양이 2명(2.7%), 목동맥해면정맥루 1명(1.3%) 순이었다. 초진 시 제일눈위치에서의 평균수직사시각은 7.2 프리즘디옵터였으며 최종 경과관찰 시 정위로 회복된 경우는 38명(62.3%)이었으며 사시각이 감소하여 복시로 인한 불편감을 호소하지 않는 부분 회복된 경우는 13명(21.3%)이었다. 전체 평균 회복기간은 2.9개월이었으며 회복되지 않은 10명 중 수술을 원하는 5명에 대해 수술적 처치를 시행하였다. 결론: 성인에서 안구와 두부의 외상 및 수술과 같은 외부 요인이 없이 급성으로 발생한 수직사시는 원인불명이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 하였으며 62.3%에서 보존적 치료만으로도 정위로 회복되며 83.6%에서 특별한 수술적 처치 없이 회복되었다. <대한안과학회지 2013;54(11):1767-1771>
Purpose: To defin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acute vertical strabismus in adults strabismus without known ocular and cranial external factors.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study of 72 adult patients who developed acute vertical strabismus without known ocular and cranial external factors such as trauma or operation and were followed up for at least 6 months. Results: Undetermined cause (n = 41, 57%) was the most common etiology of acute vertical strabismus, followed by fourth cranial nerve palsy (n = 15, 20.8%), myasthenia gravis (n = 7, 9.7%), third cranial nerve palsy (n = 6, 8.3%), brain tumor (n = 2, 2.7%), and carotid-cavernous fistula (n = 1, 1.3%). The average vertical deviation at primary position was 7.2 prism diopter at initial visit. Thirty-eight (62.3%) patients recovered to orthophoria and 13 (21.3%) patients showed decreased level of diplopia. The average recovery period was 2.9 months. Ten cases remained as strabismus and 5 underwent surgery upon patient`s request. Conclusions: Unknown cause was the most common diagonosis of adult acute vertical strabismus without known ocular and cranial external factors. In the present study, 62.3% of patients recovered to orthophoria and 83.6% recovered without surgical procedures. J Korean Ophthalmol Soc 2013;54(11):1767-17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