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하정삼문취록』 은 105권이라는 분량의 방대함과 38개 혼사담이라는 서사의 다양함만큼이나 인간이 혼인을 매개로 이루어지게 되는 수직적 수평적 또는 복합적 인간관계 또한 다양하다. 『윤하정삼문취록』 은 유교적 윤리이념을 거의 종교화시켜서 신봉하는 상층사대부가의 유교적 가정생활을 미시적, 거시적으로 조망하면서 사라져가는 유교적 윤리덕목의 가정내 실천의 중요성을 부각시켰다. 그렇기 때문에 『윤하정삼문취록』 의 여러 가족관계속에서 발현되는 상층사대부가의 ‘예’의 실현양상들은 현대인들에게도 적용할 수 있는 소중한 선대의 유산이다. 특히 『윤하정삼문취록』 내 가족들 사이에서 이루어지던 ‘효’와 ‘공경’, ‘우애’와 ‘사랑’, ‘순종’과 ‘복종’, ‘자애’와 ‘용서’, ‘관대함’과 ‘배려’, ‘인내’와 ‘신뢰’, ‘인지상정’과 ‘측은지심’ 등은 인류 보편적인 인간의 심정으로서 대대손손 습득시켜도 될 교훈적 가치가 있는 유교적 윤리덕목이다. 결론적으로 『윤하정삼문취록』 에 나타난 사대부가의 유교적 가정생활은 시대에 관계없이 인간이면 누구나 행해야 하는 보편적인 윤리덕목의 체화 모델로서, 후대 대대손손 배우고 익히고 행해야 할 교훈적 기능과 역할을 다하리라고 본다.
An idea of a Confucius was a useful text to understand our education h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