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44.4.65
3.144.4.65
close menu
}
KCI 등재
의암유인석(毅菴柳麟錫)의 화서심설전승양상(華西心說傳承樣相)
The scholastic Background of Yu In-seok
박성순 ( Sung Soon Park )
동방학 27권 219-241(23pages)
UCI I410-ECN-0102-2014-800-001545489

위정척사사상과 의병운동의 상징적 존재인 유인석의 활동상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그의 활동을 뒷받침해준 심설의 위상 검토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감이 있었다. 무엇보다도 유인석의 심설이 어떤 갈래에 속하며, 어떤 특징을 지니고 있는지를 정확히 밝혀내기 위해서는, 우선 그의 스승인 이항로의 학문적 연원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선결과제이다. 이항로의 학통에 관해서는 여러 연구자들이 의견을 개진하였으나, 정확한 진단은 쉽게 찾아볼 수 없었다. 그것은 화서학파가 자임하는 학통과 그들이 견지한 심설이 통념적 견지에서 서로 어울리지 않는 모습을 노정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필자는 본고에서 19세기 심설 논쟁의 전단계인17?8세기의 호락논쟁의 맥락 속에서 살펴보았을 때, 이항로의 학설은 호론보다는 낙론의 입장에 더 가까운 것임을 논증하였다. 낙론의 특징은 심성에 대한 기의 제약성보다는 리의 보편성과 우월성을 중시한 것이다. 물욕을 조장하는 器的측면을 앞세운 서양세력의 접근에 맞서, 기질지성을 용인하는 호론을 갖고서는 도도한 서학의 침투를 막아내기에 역부족이라고 느낀 것이다. 서양 세력이 객관적인 힘의 우위에 서 있는 만큼, 조선이 서양보다 우위에 설 수 있는 방법은 조선이 리라고 하는 자긍심을 유지하는 길뿐이었다. 따라서 리라는 것은 기질지성에 의해서 쉽게 변화될 수 있는 그런 것이 아니라, 遍在性과 主宰性을 갖춘 것이라는 점을 밝힐 필요가 있었다. 그것은 서양 물건을 趨附하는 어리석은 백성들을 교화하고, 조선이 서양보다 도덕적 우위에 설 수 있는 유일하고도 결정적인 수단이라고 생각했던 것이다. 이와 같은 주리적 심설은 유인석이 위정척사운동에 매진하게 되는 사상적 근거가 되었다. 1861, 2년 사이에 유인석이 이항로에게 여러 가지를 질의한 「問目」을 통해서, 화서학파의 사상사적 갈래와 그들의 지향을 정확히 알 수 있다.

The history of worship towards Mazu and YeongDeung dates back from 500 to 1,000 years. The two deities are both for the Sea and for the people. Mazu seems to show herself as a woman with approximately 40 years old, meanwhile YeongDeung is divided into an old grandpa and an old grandma, but the female deity represents the stronger than the male. Mazu has been mainly protected in the form of a Royal Tomb, but also has been worshipped in an altar erected by a common family home. YeongDeung is a visiting god and has been worshipped through a special ceremony called Gut which is normally directed by a Shaman. A grand ritual offering is made for Mazu on her birthday and on the day of her death. A sporadic ceremony is also observed eventually whenever a certain need is occurred in the everyday life. On the contrary, YeongDeung is considered as a deity for the protection of a family and also for a village community. This is a seasonal ritual to be celebrated from February 1st to 15th or 20th, according to the lunar calendar. The deity of Mazu was limited, at first, to be a goddess for the protection of the sea voyages, but later it was developed to be an almighty goddess. Meanwhile, YeongDeung is limited to be only a god for agriculture and wind, and in the insular areas it is considered to be a god for wind and rain and for the protection of sea voyages. Particularly in Jaeju island this is a god for the abundance of all sorts of sea foods. The two deities produced a great number of various legends and especially the culture of Mazu is known to be a treasure fountain for academic studies. It contains the fortune telling and taboos, and also holy scriptures and a plenty of folk beliefs and tales. The Mazu belief has the power to get united the people in a community and to promote public works for the wellbeing of its society. The positive aspect of the idea is that Mazu has contributed to the upgrading of the personality of a man and of the images of its people as a national brand, meanwhile the YeongDeung belief is usually limited to fishery and agriculture. It shows therefore its aim to beg for personal wellbeing. Mazu and Jaeju Chilmeoridang YeongDeung Gut were selected to be registered at the UNESCO as the Invisible Cultural Monument as of September 30, 2009. Along with the religious aspect, a sort of festival touch is emphasized graduall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