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29.217.232
3.129.217.232
close menu
}
KCI 등재
<봉래의> 치화평 사방회무 춤의 양식화를 위한 방안모색
Seeking Practicable Alternatives to Stylize Korean National Dance through Chihwapyeong Sabanghoemu of Bonglaeui
손선숙 ( Seon Suk Son )
공연문화연구 27권 97-118(22pages)
UCI I410-ECN-0102-2014-600-001549996

본고의 목적을 한민족이 공유하고 공감할 수 있는 민족 공동체의 통일적 흐름을 무용적으로 양식화하는 토대 방안을 궁중정재 <봉래의>의 ‘치화평(致和平)사방회무(四方回舞) 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을 때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치화평 사방회무 춤’은 협무 8인이 한글로 ‘치화평’음악에 노래를 부르며 사방대형에서 춤을 추는 춤이다. 북대 2인만이 춤을 추는데 ‘북향-상대-상배’를 춘다. 춤을 마치면 무 전체가 회무를 돌아 자리를 바꾸어 서는데, 매 대2인이 차례로 돌아가며 앞의 춤을 반복하여 춘다. 이렇게 사방대형에서 협무 8인이 차례로 돌아가며 같은 내용의 춤을 반복하여 추는 것을 북대의 춤과 회무, 2가지 구조로 양식화하여 무1인[독무]이 4번 반복하여 추는 것으로 실행체계를 세웠다. <봉래의>의 ‘치화평 사방회무 춤’은 역사 속에 살아있는 춤이다. 고려시대부터 조선말엽까지 이어져 한민족의 가슴에 남아있는 역사의 춤으로, 남북한 모두 공유하였던 춤이다. 즉 한글을 공동언어로 사용하는 남북한 모두 세종대왕이 창제한 <용비어천가>라는 역사적 문화를 함께 공유하고 있는 셈이다. ‘치화평 사방회무 춤’의 실행체계는 북대의 춤과 회무 2가지로 단순하지만 중요한 것은 세종대왕이 창제한 <용비어천가>를 부르면서 추는 것에 의미가 있다. 정재의 독특한 구조와 춤사위를 직접 경험함으로써 한국 왕실의 무용문화를 이해하고 역사를 공유한 민족이었음을 깨닫게 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역사 속의 춤인 <봉래의>의 ‘치화평 사방회무 춤’을 공유함으로써 한민족이라는 공적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며 화합과 결속력을 다질 수 있는 원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report looks for a way to stylize Korean national dance through Chihwapyeong Sabanghoemu of Bonglaeui, which represents the national sentiment and Koreans both from the South and the North can sympathize with. In Chihwapyeong Sabanghoemu, 8 hyeobmu dancers dance in Sabang formation singing to Chihwapyeong in Korean. Only two dancers of bukdae dance in the order of ‘bukhyang- sangdae- sangbae’. When they are done, all the dancers change their places dancing hoemu, with each pair repeating the previous dance turn by turn. The dance that is repeated by eight hyeobmu dancers in turn in sabang formation is stylized into two, bukdae and hoemu, which are now repeated by a single dancer four times. Chihwapyeong Sabanghoemu of Bonglaeui is alive throughout Korean history. It lasted from Goryo Era to the end of Joseon Era. It still remains in the heart of Koreans. All Koreans, whether he or she belongs to the South or the North, speak the same language created by King Sejong and share the common cultural asset, Yongbieocheonga authored by the same king. The significance of Chihwapyeong Sabanghoemu derives not from its style but from the fact that it is danced to the song of Yongbieocheonga throughout its entire performance. If it`s possible for Koreans to have an opportunity to experience the unique structure and dancing style of Jeongjae and to understand the Korean court dance heritage, they will be reminded that they descended from the same ancestors. Moreover, a cultural attempt to share Chihwapyeong Sabanghoemu of Bonglaeui could result in a better understanding and relationship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