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1920년대 아동 독서물들이 급증하게 되는 것에 주목하여 근대적 의미의 아동 독자가 형성되는 사회, 문화적 배경을 살펴보고, 근대 아동 독자들이 책 읽기의 주체로서 성장해 나아가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1920년대 발행되었던 대표적인 어린이 잡지인 『어린이』와 『별나라』의 ‘독자담화실’을 중심으로 하여 편집인들이 기획한 관념화된 독자가 아닌, 실제 독자들의 반응과 요구를 통하여 독자가 갖는 위상을 점검하였다. 근대 아동 독자층 형성의 주요 요인으로는 1920년대의 ‘소년운동’, 학교제도, 가족제도를 꼽을 수 있다. 특히 아동 잡지의 독자 수의 증가는 ‘소년회’ 활동과 긴밀한 연관관계에 있다. 근대적 교육에 대한 열망과 보통학교 취학율의 증가로 인한 문맹율의 저하도 독서 인구를 늘어나게 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또한 부부중심의 근대적 가족 제도로의 이행은 자녀 교육에 대한 관심을 배가시키며, 어린이 독자 수를 늘리는데 기여하게 된다. 1920년대 아동 잡지들은 1910년대 신문관 매체들과 달리 현실의 독자들과의 교섭을 꾸준히 시도한다. 독자들은 ‘독자담화실’ 등을 통한 적극적 참여를 통하여 잡지의 내용과 편집에도 관여하는 발언권을 갖게 될 뿐만 아니라, 독자 상호간의 심리적 유대를 통하여 하나의 공동체 집단을 형성하게 된다.
This study is aimed to investigat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in the process of forming child readers in modern times by focusing on a sudden increase in the number of child books in the 1920s and examine how child readers in modern times grow into a true reader. For this, readers` social status was investigated based on analysis on real readers` responses and demands, not ideal readers planned by editors, focusing on ‘Talk with Readers’ in typical child magazines in the 1920s Orini(『어린이』) and Byolnara(『별나라』) and ‘Starland.’ The primary factors of forming child readers in modern times include ‘Boys Campaign’ in the 1920s, school systems and family systems. In particular, increase in the number of child magazine readers is closely related with the activities of ‘Boys’ Association.` A decline in illiteracy rates after a strong desire for modern education and increase in the percentage of school attendance has also been a critical factor in increasing the number of readers. Moreover, a married couple-centered modern family structure has doubled interest in child education, which has in turn increased the number of child readers. Unlike sinmungwan(신문관) media in the 1910s, child magazines in the 1920s continuously contacted readers for negotiation. Readers raised their voice in even editing through active participation such as ‘Talk with Readers’ and organized a community through psychological bon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