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이란 서로 다른 언어와 문화 사이에서 의미를 전이시키는 하나의 행위이다. 이 과정에서 언어와 문화 간의 유사점도 있지만 차이점도 존재한다. 이러한 차이점을 극복하고자 하는 것이 번역학에 있어서 핵심적인 연구과제이다. 따라서 번역가는 원천 텍스트와 목표 텍스트를 연결하는 중재자가 되어야 할 것이다. 본고에서는 문화소를 어휘적 층위, 관용구적 층위, 문법적 층위, 맥락적 층위에 이르기까지 총 네 가지 층위에서 살펴보고 번역이 되는 방법들을 분석하였다.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어휘적인 층위에서만 한정되어 연구가 이루어졌는데, 문화소는 한 층위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며, 사회적인 차이나, 문화적인 차이를 고려하여 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문화소의 층위를 맥락적 층위까지 확장하여 살펴보았다. 다양한 층위에서의 문화소 분석 연구를 통해서 문화소 연구의 어휘적 한계를 넓힐 가능성을 기대해본다.
Translation is an act of cross-lingual and cross-cultural communication. It is a process that is looking for similarities between cultures, but it constantly confronts dissimilarities. How to deal with these dissimilarities to achiev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has been a core issue in translation studies. Translators therefore should shift to be the cultural mediator. In the process of translation, translators are required to bridge the cultural gap between source and target text. This paper attempts to extend the theoretical focus on cultural elements(cultureme) which are researched in word level to context one, aiming to show translators various cultural translating methods in different levels. Thus it examines cultureme in Jeju tourism text and its translation which includes a number of cultural elements. The research result of this case study shows that culturemes are not limited to word level and they can be in idioms, grammar level and even context level. Therefore these results can have the real potential to expand horizons at researching culture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