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5
18.97.14.85
close menu
Accredited
국제경영 : 한국·일본의 대 아시아지역 직접투자 특성의 비교분석
International Management :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ODI by Korean and Japanese Firms into Asian Continent
금성기 ( Seong Ki Kim ) , 채두병 ( Doo Byung Chae ) , 강한균 ( Han Gyoun Kang )
UCI I410-ECN-0102-2014-300-002047310

본 연구는 아시아지역에서의 한국과 일본의 대 아시아지역 직접투자의 특성을 거시적 측면과 미시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거시적 측면에서는 시장지향적 특성과 생산효율지향적 특성이 강한지를 다중회귀분석으로, 미시적 특성으로는 투자유형(합작·단독)과 투자규모, 노동집약도, 임금, 본사 파견 노동자비율 등의 관계를 로지스틱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대체로 한국은 시장지향적 및 생산효율지향적 특성에서 2000년 이후 대체로 시장지향적 특성으로 전환되었고 일본은 생산효율지향적 특성에서 2000년 이후 대체로 시장지향적 및 생산효율지향적 특성으로 전환되었다. 한편 투자유형면에서는 한국과 일본 모두 GDP가 증가할수록, 파견노동자의 비율이 높을수록 단독투자를 선호하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투자규모가 클수록 현지임금이 높을수록 합작투자를, 일본은 자본집약도가 높을수록 단독투자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Japanese Overseas Direct Investment(ODI) in Asia. An empirical test consists of two parts, the determinants of ODI and the micro characteristics of subsidiaries in Asia between Korea and Japan. Multiple regression and logistic regression model are used in empirical tests as methodology. The coefficient of GDP is significant and positive sign to sole venture in both countries. The coefficient of CPA in Korea is significant and positive sign to joint venture but insignificant in Japan. The coefficient of WAGE in Korea is significant and positive sign to joint venture but is significant and negative sign to joint venture in Japan. The coefficient of LBIT is significant and positive sign to joint venture in Japan. The coefficient of HOME is significant and positive sign to sole venture in both countri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