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118.196.177
18.118.196.177
close menu
}
KCI 등재
새 발굴 驪州李氏先世문집,저술 고찰(1) - 『太湖詩稿』를 중심으로 -
Research on Writings of Yeoju Lee Clan (1): Taehosigo
김영진 ( Young Jin Kim )
온지학회 2013.07
온지논총 36권 129-166(38pages)
UCI I410-ECN-0102-2014-800-001544144

『근기실학연원제현집(近畿實學淵源諸賢集)』(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2002)이 편집 간행은 여주이씨(상서공파) 성호(星湖) 가문의 연구에 새로운 전기(轉機)를 마련할 만큼 의미 있는 작업이었으나 여전히 성호가의 자료는 미발굴 상태로 있거나, 발굴되었어도 학계에 충분히 이용되지 못하는 실정에 있는 자료가 상당수 있다. 필자는 이전에 『오원집(五園集)』, 『상산삼매(象山三昧)』, 『성고수창록(聲皐酬唱錄)』 등 성호가의 자료를 발굴, 소개한 바 있고, 이후로도 성호가의 자료에 치중하여 『사포집(沙浦集)』, 『운대만록(雲臺漫錄)』, 『아술록(蛾述錄)』, 『무재잡저(楙齋雜著)』 등 새 자료들을 현재 다수 확인하였다. 차례로 소개할 예정이다. 본고는 우선 2008년에 학계에 처음 알려졌지만 그 중요도에 비해 아직 연구가 후속(後續)되지 못하고 있는 李元鎭著 『太湖詩稿』를 본격적으로 소개한다. 이원진의 시 281題331首를 수록한 이 목활자본 시집은 저자의 생애 및 官歷에 맞춰 小集別編年順으로 배치되어 있다. 편집 및 간행은 이원진의 차남 李滋(1614∼1687)에 의해 1665∼72년 사이에 간행 되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그 근거는 同一한 목활자본들인 『태호속고(太湖續稿)』, 『소릉연보(少陵年譜)』, 『황려세고(黃驪世稿)』(9권2책, 고려대 화산문고본)를 추가로 확인함으로써 단서를 찾았다. 『太湖詩稿』에 대한 본고의 문헌학적 연구를 통해 향후 이원진의 문학과 사상 연구, 星湖先代의 출판 문화 연구, 성호가의 학술 연원과 후대에 끼친 영향 등 다양한 연구가 지속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Though the publication of Keungi Silhak Yeonwon Jehyunjip have helped out researchers to study Yeoju Lee clan, there still remains lots of raw materials. I already introduced Ohwonjip, Sangsansammae, and Seonghosuchangrok which have connection with Seongho. Since then, I have focused on looking for raw materials about Yeoju Lee clan. So that I ascertained Sapojip, Woondaemanrok, Asulrok, and Mujaejapjeo. I will report those materials one by one to the academia in the near future. As the first step, I introduce Taehosigo written by Lee Won-jin in this paper. This book was published by wooden block, and is a poetical works that includes 340 poems. These poems are in sequence and continuous. I assume that editing and publication of this book was handled by Lee Ja who is the author`s brother in law. And perhaps the publication year is between 1665 and 1672. I verified it by crosschecking a couple of similar books. In this paper, I focused on bibliography of Taehosigo. I hope that various researches such like the author`s literature and philosophy will follow after this paper.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