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구약성서에 빈번하게 등장하는 하나님의 이름, 야훼의 이름과 신약성서에 등장하는 예수의 이름에 대하여 다룬다. 구약성서의 성취가 신약성서라는 고전적인 전제 위에서, 이 두 이름 사이에 단절이 있는지, 연속이 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우선, 성서에 나타나는 하나님의 이름에 대하여 언급한다. 하나님이 자신의 이름을 말해 준 곳은 출애굽기 3장에서‘에흐예 아셰르 에흐예’이다. 이 본문은 바로‘에흐예’에 이어‘야훼’라고 하나님의 이름을 명기하고, 그 후로 줄곧 구약 성서에서는 사성문자로 하나님을 표기한다. 이 이름은 칠십인역에서 ‘키리오스(주)’로 표기되고, 신약성서에서는‘예수’를‘주’로 받고 있다. 이렇게‘주’는 구약성서와 신약성서를 연결하는 키워드로 연구되어 왔지만‘예수의 이름’에 대해서는 그렇지 못한 것 같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구약성서와 신약성서를 잇는 키워드로‘하나님의 이름(야훼의 이름)’과‘예수의 이름’을 다룬다. 특히 독일 베를린대학교에서 이 주제로 신약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룩- 슈레더의 연구는 이 글을 완성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우선 유일성이라는 관점에서 두 이름을 비교하고, 그다음에 현재화라는 관점에서 두 이름을 비교한다. 이런 비교 과정에서 기독론의 문제도 다루고 삼위일체론의 문제도 다룬다. 결국 두 이름 사이에 유일성이 확보된다는 결론에 이른다. 또한 현재화에 대한 견해는 이 글의 핵심적인 내용이다. 신약성서에 나타나는‘~ 이름으로’라는 전치사구는 어떤 것의 현재화를 드러낼 때 사용한 초대교회의 신학적인 주장으로 보았다.
Cet article se developpe sur le Jesusonoma en tant que le sujet de la Theologie contemporaine. Dans l’article precedant(Korean Journal of Systematic Theology 29, 2011.Jun.), j`ai traite le signe Jesusonoma. La christologie contemporaine est a la tension dure des relations entre la christologie deductive(Logos →Sarx) et la christologie inductive(Sarx→Pneuma ou Anthropos→Theos) de sorte que le deuxieme personne de la trinite est blesse. On ne peut pas non plus decrire la christologie et la trinite. Donc on cherche un autre signe pour les remplacer. Cette etude vise a chercher un mot nouvel dans la Bible qui indique le deuxieme personne de la trinite et la trinite soi meme. Mon etude precedante selon les deux questions a ete propose. Les deux questions sont 1. Quel est le but de rechercher Jesusonoma, dans la situation de deux pole entre le Jesus historique et le Christ en foi. Quelle est sa position dans la christologie? 2. Le Jesusonoma ou L`onoma que les evangiles et les epitres se presentent, quelles sont son identite dans la trinite et sa signification theologique? La premiere partie ebauche la situation de la theologie contem- poraine, la deuxieme partie developpe le Jesusonoma dans la categorie de la christologie. Ruck-Schroder commente presque tous les Jesusonomas dans le Nouveau Testament de sort qu`elle nous presente le sens du Jesusonoma. En effet, dans cette etude, on considere le Jesusonoma en tant que l`unification de la christologie, l`unite de Dieu et la presentation de Die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