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다변량 통계 분석법을 이용하여 지리산 서부 천연림을 대상으로 산림 피복형을 분류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점표본법에 의한 식생자료를 바탕으로, 수종-표본점 곡선, 계층적 군집분석, 지표종분석, 다중판별분석 등의 다변량 통계 분석법을 이용하여 식생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종-표본점 곡선에서는 산림 피복형 분류에서 전혀 영향력이 없는 수종들을 예외값으로 제거하였다. 예외값을 제외한 산림식생정보를 바탕으로 계층적 군집분석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지를 2~10개의 클러스터로 분류하였으며, 지표종분석을 통해 연구대상지의 적정 클러스터 수는 7개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다중판별분석을 실시하였고, 91.3%가 정확하게 분류되어, 연구대상지 산림 피복형의 개수는 7개가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 클러스터 상층의 우점수종 비율에 따라 신갈나무순림, 중생혼합림, 신갈나무-졸참나무림, 구상나무-신갈나무림, 들메나무림, 졸참나무림, 서어나무림으로 산림 피복형을명명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ssify forest cover types using the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in the natural forest of western Mt. Jiri. On the basis of the vegetation data by point quarter sampling, the adopted analytical methods were species-area curve (SAC),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HCA), indicator species analysis (ISA), and multiple discriminant analysis (MDA). SAC selected the outlier tree species which was likely to have no influence on the classification of forest cover types, excluded from all analytical process. Based on forest vegetative information, HCA classified the study area into 2 to 10 clusters and ISA indicated that the optimal number of clusters were seven. MDA was taken to test the clusters that classified with HCA and ISA. The seven clusters were classified appropriately as overall classification success were 91.3%. The classified forest cover types were named by the ratio of the dominant species in the upper layer of each cluster. They were (1)Quercus mongolica Pure forest, (2) Mixed mesophytic forest, (3) Q. mongolica - Q. serrata forest, (4) Abies koreana - Q. mongolica forest, (5) Fraxinus mandshurica forest, (6) Q. serrata forest, and (7) Carpinus laxiflora for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