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2.161.239
3.12.161.239
close menu
}
KCI 등재
한국 농촌 주민의 사회적 관계의 변화: -경기도 S 마을의 1950년대생 영농후계자 코호트를 중심으로
Changes of Social Relationships in a Rice-cultivating Village in Korea: -Focusing on the Farming Successor Cohort Born in the 1950s
김주희 ( Joo Hee Kim )
UCI I410-ECN-0102-2014-300-001522149

이 연구는 경기도 소재 자연부락 S 마을 남성 주민들의 사회적 관계가 지난 30여 년동안 어떠한 방식으로 변화했는가를 보고 그 변화와 관련된 사회경제적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S 마을은 연구자가 1977년 민속지 조사를 행했던 지역으로, 남성 주민의 사회적 관계에 대한 조사는 1989년 재조사를 행한 바 있으며 이번이 세 번째이다. 특히 어린 시절 해방 직후 농지개혁의 혜택을 받으며 성장했고, 한국 사회의 고도 경제성장기와 새마을운동 그리고 아산만 댐 건설로 주민들의 삶에 희망이 깃들기 시작한 시기에 청소년 시절을 보냈으며, 마을에 남아 농가계승을 한 마지막 세대라는 특징을 공유한 1950년대생 영농후계자 코호트에 초점이 맞추어졌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 마을 사회적 관계의 근간이었던 두 성씨집단과 타성 사람들 간 경계가 허물어졌다. 이는 두 성씨집단의 종족의식이 극히 약해졌기 때문이다. 마을을 떠난 가구 중 타성 가구가 훨씬 많고 두 성씨집단이 마을을 지키고자 한 열망은 더 크다 하겠으나 일상생활에서 종족과 타성 간 구분은 사라졌다. 이러한 현상은 이미 타 지역을 연구한 선행연구에서 종종 발견되는 것이기도 하여 이에 있어 S 마을은 예외가 아니다. 둘째, 50년대생 남성 코호트에게 있어 마을 내 동기 동창생이 있고 없고는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데 큰 차이를 만든다. 이는 학연이 매우 중요해졌기 때문이다. 학연은 예전 친구의 개념과는 많이 다르며, 마을 내에서도 동기생을 중심으로 친밀한 관계가 형성된다. 학연은 남성들로 하여금 다른 종류의 사회적 관계망을 만드는 데 소극적이게 한다. 학연은 농촌 주민의 연고주의가 되었고, 혈연보다 중요해졌으며, 정서적 충족의 원천이 되었다. 셋째, 마을공동체 의식은 크게 약화되었다. 1977년 첫 조사 당시 S 마을 주민들의 사회적 관계는 품앗이라는 메커니즘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었다. 농경뿐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주민들은 끊임없는 호혜적 행위를 통해 신뢰를 다졌으며, 주민들은 이 모두를 품앗이라 했다. 물품과 일손 그리고 정은 그러한 품앗이의 주요 대상이었다. 당시 친족, 친구, 이웃, 아랫말, 윗말 등 즉 촌수가 가까울수록, 이웃일수록, 친한 사이일수록, 같은구역 내 살수록 오고 가는 호혜적 행위의 빈도는 증가했다. 마을 주민 대부분은 이를 매우 가치 있게 생각했으며, 이를 통해 정서적 충족을 얻고자 했다. 품앗이는 마을 내 사회적 관계가 거의 전부였던 시절 공동체 의식을 강하게 유지시킨 기제였다. 오늘날 주민들 사이의 호혜적 행위는 단지 간헐적으로만 행해지고 있으며, 품앗이라는 용어는 서서히 잊히고 있다.

This study is a longitudinal study carried out over a period of approximately 30 years on a typical rice cultivating village located in Gyeonggi Providence. In this study, we trace the changes in the social relationships among the male cohort born in the 1950s who are the last farming successors.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barrier between the two dominant lineage groups and non-lineage residents has completely vanished. Also, the rivalry between the two lineages which once existed has vanished as well. The kinship consciousness which was once important no longer affects the formation and maintenance of social networks among the members of the two lineages. Second, school ties have become the most important social relationships among the cohort born in the 1950s. School ties make one sensitive to age differences when building up one`s social networks, a situation which differs greatly from that of the past. The importance of school ties among the cohort that was born in the 1950s tends to make them less interested in seeking other kinds of village and non-village social relationships. Lastly, the third and final discovery of our study is that the community spirit among the villagers has become greatly weakened. Now that p`umassi and rice gye are no longer practiced, the necessity of the two mechanisms is gone and villagers are therefore less eager to cultivate intimate relationships among themselves. Instead they seek relationships in an extended regional community. Economic activities outside the village have accelerated this tendency. In conclusion, the fact that at present the villagers enjoy external social networks is closely related to changes of subsistence means and the expansion of public education. Villagers except for the elderly spend time outside of the village more than ever, with the result that social contacts among themselves have thus become drastically diminished. School ties have become essential not only for developing social networks but for emotional satisfaction as well.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