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관찰 상황에서 초등학생들의 과학학습 동기체계(SL-BIS/BAS;과학학습 행동억제체계/행동활성화체계)에 따른 행동 특성을 알아보고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신경생리학적 연구 방법 중하나인 시선추적장치(Eye-Tracker)를 이용한 연구를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L-BIS에 민감한 학생의 경우 관찰 과제에 대한 총 시선고정 지속시간이 SL-BAS에 민감한 학생보다 유의미하게 짧았으며(p<.05), SL-BIS에 민감한 학생은 관찰과제에대한 새로운 시선고정이 더 빈번하게 일어나면서 총시선고정 횟수가 SL-BAS에 민감한 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많았다. 또한, 시선고정 당 지속시간은 SL-BIS 에 민감한 학생보다 SL-BAS에 민감한 학생이 유의미하게 더 길었다. 둘째, 학습과제에서 주의를 이끄는자극 중 하나인 변화 상황별 시선고정의 분포의 경우,변화가 일어나는 상황에서는 SL-BIS에 민감한 학생과 SL-BAS에 민감한 학생 사이의 시선고정에서 큰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변화가 멈춘 상황에서는SL-BIS에 민감한 학생에 비하여 SL-BAS에 민감한학생의 시선고정 총 지속시간과 시선고정 당 지속시간이 유의미하게 길게 나타났다. 셋째, 실험 구인별시선고정의 대상을 비교하였을 때 SL-BIS에 민감한학생들은 실험에 중요하게 관련되지 않는 구인에서도 시선고정을 보인 반면, SL-BAS에 민감한 학생들은실험과 관련된 구인에 시선을 고정하며 집중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관찰 상황에서학생들의 과학학습 동기체계에 따른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특성에 적합한 지도 계획을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resent work was performed to fi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rresponding to the motivation system on science learning (SL-BIS/BAS; Behavioral Inhibition/Activation System about Science Learning) in the observation situation. Eye-tracking was used for this study, which is one of the neurophysiological methods. The findings of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tudents who have sensitive motivation system to SL-BIS (SL-BIS group) showed meaningfully shorter fixation duration the whole time during an observation task than students who have sensitive motivation system to SL-BAS (SL-BAS group) (p<.05). Total fixation counts of SL-BIS group were significantly larger than SL-BAS group and it indicates that SL-BIS group often generated new fixations. Therefore, fixation duration per count of SL-BAS group was longer than that of SLBIS group. Second, we studied fixations in situations with movement corresponding to the motivation system on science learning. SL-BIS group and SL-BAS group exhibited similar fixation duration in the study task segment with movement, which is one of the stimulus attracting students. However, for the study task segment when the movement was finished, total fixation duration and fixation duration per count of SL-BAS group were meaningfully longer than those of SL-BIS group. Third, comparing fixation targets classified by factors of study task, SL-BIS group showed fixation on the target that is not important for the study task. But SL-BAS group concentrated on the target-related factor of the study task. The present work could be helpful in understanding students` characteristics corresponding to the motivation system on science learning in observation situation and for making a learning & teaching plan that is suitable to the feature of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