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5
18.97.14.85
close menu
식품의약품안전처 SESSION : 식품 중 농약 안전관리 제도의 국제 동향
International Trends of Regulation on Residual Pesticide Safety Assurance in Foods
우희동 ( Hee Dong Woo ) , 신유정 ( Yoo Jung Shin ) , 이중근 ( Joong Keun Lee )
UCI I410-ECN-0102-2015-500-000630102
This article is 4 pages or less.

글로벌화 되고 있는 식품산업 환경에서 요구되는 식품안전 확보에 필수적인 잔류농약 안전관리 국제화 방안 마련을 위해 국제사회의 식품 중 잔류농약 안전관리 제도를 조사분석 하였다. 식품 중 잔류농약의 안전한 관리를 위한 CODEX (국제식품규격위원회) 및 주요 국가의 활동을 파악하기 위해 2013년 5월 개최된 the 45th CODEX Committee on Pesticide Residue (CCPR)의 아젠다 및 주요 회의결과를 분석하였다. 주요 아젠다 중 ``6(a)-Draft and Proposed draft maximum residue limits for pesticides in foods and feeds at step 7 & 4``의 회의결과, 국내에서 제출한 자료를 토대로 Azoxystrobin의 인삼에 대한 MRL을 확정하였고, ``10-Revision of the Risk Analysis Principles applied by the Codex Committee on Pesticide Residues``의 회의결과는 주기적인 검토 대상 성분 관련 내용을 제외한 위험도 분석 (Risk Analysis) 원칙을 세부적으로 검토하여 수정 내용을 다음 단계로 진행하였다. ``12(a)-Outcome of the Pilot Project for JMPR Recommendation of MRLs Before National Governments or other Regional Registration Authorities for a Global joint Review Chemical``에 대한 회의에서는 MRLs의 신속한 국제조화에 필요한 JMPR 및 관련 국가의 자 료심사를 위해 2011년 진행한 Sulfoxaflor에 대해 논의하였다. Pilot Project 수행 및 Joint Review 의 진행 경과는 효율적인 것으로 보고되었고, 일부 국가별로 등록 및 심사 단계의 상이함을 제시 하였다. 그리고 식품 중 잔류농약의 위해평가의 근거자료를 보다 정확하게 산출하기 위해 수행하 는 국가별 농약 사용량 조사 및 식품 중 잔류농약 노출량 평가 방법을 분석하였다. OECD는 농약 사용량 조사를 위한 조사대상 선정방법 및 분석방법 등이 포함된 지침을 수립하여, 조사를 통해 농약 사용 작물 재배 면적, 농약 사용 작물의 비중 등의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미국과 캐나다는 보다 과학적인 잔류농약 노출량 평가를 위해 Percent Crop Treated (PCT)의 통계적 추계방법 확립을 목적으로 하는 공동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에서 주기적으로 과채류, 과수, 벼 및 엽채류에 대해 대표 농가를 선정해서 농약 사용량을 조사하고 있다. 그리고 식품 중 잔류농약 위험도 평가 (Risk Assessment)의 과학화를 위해 국내에서 개발한 식 품 원재료 섭취량 산출 프로그램 및 잔류농약 노출량 산출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유지보수하고 있다. 추후 본 조사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식품 중 잔류농약 안전관리의 국제화 방안을 수립하고 제시할 계획이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