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3
18.97.14.83
close menu
토양유기탄소측정법의 방법비교 : 습식산화법과 건식연소법
Method Comparison of Soil Organic Carbon Measurement: Wet-Oxidation & Dry Combustion Method
조민경 ( Min Kyung Cho ) , 김선영 ( Sun Young Kim ) , 임영수 ( Young Soo Lim )
UCI I410-ECN-0102-2015-500-000629869
This article is 4 pages or less.

농업환경에서 탄소의 순환은 대기, 수질, 토양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지구온난화의 주원인이 되는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수질오염기준이 되는 총유기탄소(TOC)와 더불어 토양 중 유기탄소의 형 태로 순환하게 된다. 이러한 탄소순환의 고리에서 토양 중 유기탄소의 함량은 대기나 수질 중의 탄소함량에 비하여 저장고 역할을 하며, 전체 순환을 결정하는 위치에 있다. 토양 중의 유기탄소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어져온 습식산화법으로는 Tyurin법 과 Walkley-Black법이 있다. 강력한 산화제인 중크롬산을 이용하여 유기탄소를 산화시켜 정량하는 방법으로, 높은 회수율을 가지며, 정량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으나, 유독성 화합물인 중크롬산칼륨 과 진한 황산을 사용하기 때문에 시험조작시 위험할 수 있고, 다량의 폐액이 발생한다. 이에 비하 여 건식연소법인 원소분석기 측정법은 토양 및 액상에서도 유기탄소 함량을 측정할 수 있고, 빠르고 편리하며 부산물 발생이 적어 환경친화적인 분석법이라 할 수 있다. 습식산화법과 건식연소법을 비교하기 위하여 습식분석법으로는 Walkley-Black법을 사용하였고, 건식연소법은 원소분석기(LECO, TruSpec)를 이용하였다. 0.5 mm 표준체에 통과시킨 풍건토양을 분석시료로 사용하고, Walkley-Black법은 중크롬산칼륨을 황산과 함께 사용하여 유기물을 산화시 킨 후, 남은 중크롬산 잔여량을 산화-환원 적정법을 통하여 분석함으로써 산화된 유기물 양을 정량 하였다. 원소분석기 측정법은 950℃에서 시료를 완전히 연소시켜, 유기탄소를 모두 이산화탄소로 생성시킨 후 IR 검출기로 이산화탄소의 양을 측정하여, 토양 유기탄소로 정량하였다. 유기물 내 탄 소함량은 일정상관계수를 갖기 때문에 유기탄소의 양으로부터 유기물의 함량을 계산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시료는 유기물 함량별로 크게 1% 미만, 1∼2%, 2%이상으로 구분하여 그룹별로 습식분석법과 건식연소법 결과를 비교하였다. 유기물 함량 1% 미만의 그룹에서는 두 결과의 일치 도가 매우 높았다. Walkley-Black법과 원소분석기로 분석된 결과를 회귀분석하여 얻은 방정식이 높은 직선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1∼2% 범위의 시료는 1% 미만 보다는 작지만, 어느 정도 유사한 결과를 보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