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겨울철 논의 담수처리에 따른 실지렁이류의 생육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Tubificidae sp. by Flooding During Winter in Paddy Fields
조광진 ( Kwang Jin Cho ) , 한민수 ( Min Su Han ) , 김명현 ( Myung Hyun Kim ) , 강기경 ( Kee Kyung Kang ) , 나영은 ( Young Eun Na ) , 김미란 ( Miran Kim ) , 최락중 ( Lak Jung Choe )
UCI I410-ECN-0102-2015-500-000639438
이 자료는 4페이지 이하의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겨울철 논의 담수처리에 따른 실지렁이류의 생육특성을 파악하여 논에서 친환경농법을 위한 대체생물로서의 이용가능성과 논생태계의 생물다양성 증진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2010년부터 2012년까지 3년간 강화군, 수원시, 화성시(봉담읍, 팔탄면)에 겨울철 담수논에 서 월동 후(3-4월) 실지렁이의 생육특성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강화군에 위치하는 무담수경과논, 담수경과논, 담수경과휴경논을 대상으로 담수처리여부에 따른 벼 재배기간(6-8월)동안의 실지렁이 류의 서식특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월동 후 실지렁이류의 개체밀도는 벼 수확기에도 물이 마르 지 않고 수심이 얕은 봉담읍에서 가장 높았고 수심이 깊고 담수시기가 늦은 팔탄면에서 가장 낮았 다. 이는 논에 담수하는 시기가 빠를수록 실지렁이류의 성장기간이 길어져 번식에 유리하고 얕은 수심은 햇볕이 바닥까지 닿아 유기물의 분해가 촉진되고 수온이 높아져 실지렁이류의 성장과 번식 에 유리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었다. 따라서, 실지렁이류의 개체수 증진을 위하여 수확 후 단기 간에 얕은 수심의 담수논 조성이 필요하며, 더불어 담수기간을 최대한 늘리는 것은 논 생태계의 생물다양성 증진과 친환경농업을 위한 필수적인 과정이라 사료되었다. 강화군에서의 담수처리여부 에 따른 벼 재배기간 동안의 실지렁이류의 개체밀도는 무담수경과논에 비해 담수경과논과 담수경 과휴경논에서 각각 170배, 319배 높게 조사되었다. 또한 겨울철 담수논의 조성 후 실지렁이류는 6 월과 7월에 가장 높은 개체밀도를 보였다. 실지렁이류의 개체밀도가 일정수준 이상이 되면 벼 재 배 시 잡초방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담수논 조성을 통한 실지렁이류의 개체수 를 증가시킨다면 실지렁이류를 이용한 친환경농법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