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1
18.97.9.171
close menu
콜레스테롤 노출 랫드의 조직 변화에 끼치는 쌀된장의 식이 효과
Effect of Rice-Doenjang-Added Diets on Histological Changes in Rats by Cholesterol Exposure
백승화 ( Seung Hwa Baek ) , 김재영 ( Jae Young Kim ) , 김운성 ( Un Sung Kim ) , 문광현 ( Kwang Hyun Moon ) , 강경원 ( Kyeong Won Kang ) , 장문익 ( Moon Ik Chang ) , 김효진 ( Hyo Jin Kim ) , 한성수 ( Seong Soo Han ) , 김성조 ( Seong Jo Kim )
UCI I410-ECN-0102-2015-500-000639312
This article is 4 pages or less.

고지혈증 유발 완화 기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고지혈증 유도 기본식이에 1.5% cholesterol+0.05% choline chloride와 쌀된장(Rice-Doenjang: RD) 및 분말쌀된장(Powder Rice-Doenjang: PRD)을 각 각 0, 2, 4 및 6% 되도록 조제하여 4주 동안 사료와 음용수를 자유롭게 섭취시키고 매일 오전 10 시에 섭취량을 측정, 체중은 5일마다 정해진 시간에 측정하여 체중 증가율 및 식이 효율을 구하였 다. 실험식이 4주 후, 간, 신장 및 비장조직을 적출하여 haematoxylin-eosin으로 염색한 후 검경하 여 랫드의 조직 변화를 조사하였다. 최종 체중은 사료로 구성된 {정상군}과 {대조군, RD 및 PRD} 사이에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나 {대 조군}, {RD}, {PRD} 사이에 유의성은 없었다(p<0.05). 식이 효율은 0.258-0.394 범위로 정상군이 가 장 높고, PRD 6% 군이 가장 낮았다. 간, 비장 및 신장 조직을 haematoxylin-eosin으로 염색하여 검경한 결과, 간 조직의 경우만 변성 지방구가 확인되었고, 비장과 신장은 정상이었다. 간에 생성 된 변성지방구는 쌀된장과 분말쌀된장의 섭취량 증가로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기본식이에 2-4% 분말쌀된장의 첨가가 기능성 지질화합물을 증가시키는 효과적인 수준으로 판단되었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