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44.100.197
3.144.100.197
close menu
KCI 등재
IPA를 활용한 스마트교육 선도교사와 일반교사의 직무인식 차이분석
Analyses on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Job Responsibility Between “Smart Education” Leading Teachers and Regular Teachers Using the IPA Technique
박상훈 ( Sang Hoon Park ) , 임걸 ( Keol Lim ) , 이종연 ( Jong Yeon Lee )
UCI I410-ECN-0102-2014-300-002045609

스마트교육의 본격적인 시행을 앞두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스마트교육을 담당할 교사들의 직무는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스마트교육이 교사의 직무에 가져올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 스마트교육 선도교사와 일반교사의 직무에 대한 인식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스마트교육 교사의 직무수행 지침과 방향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교사 중 스마트교육 선도교사 57명과 비교를 위한 일반교사 73명, 총 13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선도교사와 일반교사의 직무중요도와 직무수행도에 대한 인식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과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을 실시하였으며, 직무의 개선 사항을 알아보기 위해 중요도-수행도 분석(Important-Performance Analysis: IPA)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학교경영지원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6개 직무 영역에서, 선도교사의 직무수행도가 직무중요도보다 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수업 지도 및 학급 경영 영역에서, 선도교사의 직무수행도와 일반교사의 직무수행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PA를 통해 선도교사의 직무인식에 대한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 학생 지도, 연수 활동, 학부모 및 대외 관계 영역이 유지 영역에 포함되었으며, 수업 지도 영역이 집중해야 하는 영역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스마트교육 선도교사와 일반교사의 직무 인식 비교를 통해 스마트교육 교사의 주요한 직무를 실증적으로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교육 교사의 직무수행과 관련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which changes would bring into teachers` responsibility in Smart Education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responsibility between “Smart Education” leading teachers and non-Smart-Education, regular, teacher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27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cluding the Smart Education leading teachers (SELT) and the non-Smart-Education teachers(NSET).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by Independent T-test, paired T-test,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to find the differences between job importance and job performance among the participants. As a result, the job performance of the SELT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job importance in all job constructs except the factor of school management support. Also, the SELT showed slightly lower scores than those of NSET in the teaching-learning and classroom management constructs in job performance. Regarding IPA results, student guidance,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external relationship areas were found to be on the high importance and performance quadrant. Teaching-learning were found to be undervalued area. Implications on future responsibility performance for Smart Education leading teachers were suggest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