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톤이 철인 통치를 주장한 문제와 관련, 일단 두 가지의 근거를 들 수 있다. 첫 번째로 동기(動機)의 문제가 있다. 통치하는 사람들이 통치하기를 좋아하는 존재라면, 도시 전체의 선(善)을 추구하지 않고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통치를 함으로써 도시 전체에 분란을 일으킬 가능성이 크다. 지혜를 사랑하는 사람들만이 정치적삶보다 더 강렬하게 좋아하는 삶, 즉 ‘명상적 삶’에 천착하고 있기에 철인들은 비로소 도시 전체의 이익을 추구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라는 것이 플라톤의 생각이다. 두 번째로 “누가 도시를 통치할 것인가” 하는 사안은 심각한 문제로서 도시전체는 물론 정치 엘리트와 민중들 사이에 파괴적이고 비열하기 짝이 없는 ‘분란’,즉 ‘스타시스(stasis)’를 불러일으킨다. 결국 철인에 의한 통치만이 그러한 사태를 잠재울 수 있다. 이러한 플라톤의 주장에 설득력이 없다고 단언할 수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두 가지 경험적 근거만으로 철인통치를 정당화할 수는 없다. 철인이 아니더라도 도시의 공동선을 추구하며 도시의 분란을 잠재우는 통치자를 상정하는 것은 충분히 가능한 일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두 가지 경험적 근거는 철인 통치에 본질적인 요소가 아니라 부차적인 요소에 불과하다. 그렇다면 핵심적인 근거는 무엇인가. 플라톤의 철인 통치의 정당성의 근거는 다분히 ‘인식론적’인것이라고 생각된다. 철인들만이 진정으로 존재하는 것, 즉 정의로운 것, 선한 것, 훌륭한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참된 지식, 즉 ‘에피스테메(episteme)’를 가지고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바로 이 점이 철인들에게 최상의 통치자 자격을 부여할 수있는 핵심적 근거이다.
Plato has two empirical sorts of reasons for his claims about the political importance of philosophic understanding in the ‘Republic’. First, there is a motivational claim. If those who are to govern are lovers of ruling, they will not seek the good of the whole city, but will pursue political office simply for their own benefits and interests. Second, the question of who should rule notoriously creates bitter, intractable conflicts between elites and the masses. Rule by philosophers can put an end to such controversy. However, Plato`s best known justification for the rule of philosophers is epistemic. It is that philosophers alone have knowledge of what really is, e.g., just, good, and fine, and this makes them better at ruling. For Plato, what is of central importance in justifying the need for philosophers to rule is the philosophers`s knowledge of virtue. This is necessary not because such knowledge is the only way of getting right the evaluation of particular actions or laws. Rather, it is necessary because it involves a correct grasp of the central element of happiness(eudaimonia), that is, of what is the best kind of character for humans to have. That is a correct grasp of the nature and value of philosophic understanding, and such a grasp requires philosophic knowledge itsel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