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5
18.97.14.85
close menu
Accredited
인문학 독서토론 수업을 통한 인성교육의 가능성 고찰
A Study about the Possibility of Personality Education through the Reading and Discussion Class on the Humanities
신희선 ( Hee Sun Shin )
倫理硏究 vol. 90 313-351(39pages)
UCI I410-ECN-0102-2014-100-001523504

이 논문은 대학교양교육에서 교양필수교과로 운영되고 있는 <인문학독서토론>수업을 분석한 경험적 사례연구다. 경쟁, 불안, 폭력, 무관심 등으로 병들고 있는 한국 사회가 가장 우선해야 하는 것이 인성교육이라는 점에서, ‘독서토론’이 하나의 해법이 될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특히 인문학은 인간의 가치와 세상에 대한 근원적인 질문을 던지며 바람직한 공동체를 모색하는 것에 학문의 지향점이 있기에, 학생들이 인문 고전을 읽으면서 근본적인 물음을 찾고 동료와의 토론과정을 통해 성찰하고 숙고하는 능력을 키워간다면, 사람과 세상에 대한 따스한 관심과 책임을 가지게 될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확인하기 위해 <인문학 독서토론>수업을 들었던 학생들의 수업평가 내용을 고찰하는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인성교육에의 함의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학생들의 사고능력의 확장과 사회에 대한 올바른 관심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학습자 주도적인 토론교육과 교수자의 세심한 피드백과 코칭과 같은 교수학습방법이 효과적으로 맞물려야 함을 알 수있었다. 결국 인성교육은 이론 중심의 인문학 강의방식 보다는 직접 문제에 부딪쳐 생각해 보고 동료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폭넓게 사고하는 학습경험과 나아가이를 실천할 수 있는 태도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과정이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인문학 독서토론 교육을 통해 성찰과 소통을 내면화하고 평생학습의 동력을 갖도록 학습동기를 부여한다면 장기적으로 볼 때 실천을 담보하는 인성교육의 가능성을 높여준다고 할 것이다.

This research paper is an empirical case study analyzed “the reading and discussion class on the humanities” which is operated by the university`s liberal arts program as a compulsory course.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priority on personality education, this paper points out that “reading and discussion” can be one of solutions to a sick society that imbued with competition, anxiety, violence, and unconcern. In terms of the fact that the humanities have sought a desirable community, especially asking underlying questions to the human values and the society, if students can cultivate their capability of introspection and contemplation by seeking fundamental questions through classic books and by discussion processes with peers, they may have warm interest and responsibility on the human and the society. In order to confirm this fact, through a narrowly designed qualitative research about class evaluations, which had done by students who took the class of “Reading and Discussion on the Humanities”, this paper examined its implications on the personality education. After the research, this paper could discover that the learner-driven discussion education has to concert with teaching techniques like detailed feedback and coaching, in order to expand students` thinking ability and lead their interests to society. In conclusion, rather than a theory-based lecture, important things in the personality education are the learning experience by expanded scope of thinking with interacting with others and with confronting problems directly and in addition, the changed attitude that can execute those. From the long-term perspective, if the class of reading and discussion on humanities can motivate students to internalize introspection and communication and to have a learning motive for lifelong study, it can increase the possibility of personality education that requires real action and executi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