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여자배구 동메달리스트들의 구술기록을 토대로 이들이 지니고 있는 올림픽 기억을 역사화하는 데 있다. 이 연구에서 수행한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올림픽 참가이전의 기억 중 인기스포츠로서의 배구 종목과 지도자에 대한 기억을 역사화 하였다. 둘째, 올림픽 참가기간의 기억 중 개회식 및 폐회식과생애 최고의 경쟁에 대한 기억을 역사화 하였다. 셋째, 올림픽 참가이후의 기억 중 국위선양 및 보상과 소회에 대한 기억을 역사화 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올림픽에 대한 참가자의 진정한 경험을 포착하여 올림픽의 역사 속에서 소외된 계층의 기억을 역사의 현장으로 이끌어 내어 역사의 주체로서 등장시키는 일을 가능케 할 수 있다. 또한, 올림픽 연구자들에게 기존 문헌 중심의 연구사적 지평과는 다른 별개의 새로운 자료를 제공하여 복잡다단한 올림픽의 역사를 보다 풍부하고 진실하게 재구성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volleyball bronze-medalists` memories into a history based on oral history records from The 1976 Montreal Olympic Games in 1976.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ing: First, the bronze-medalists` memories about volleyball as a popular sports, and their coach before they participated in the olympic games were transformed into a history. Second, the memories about the both opening ceremony, closing ceremony and best comparative game during their participation in the olympic game were transformed into a history. Third, the memories about their enhancement of national prestige, rewards, and press conference after the olympic game were transformed into a history. This study results which are listed above, can possibly bring isolated memories to a main historical scene as a main agent by catching the genuine experience of the olympic particip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