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5
18.97.9.175
close menu
Accredited
『무예도보통지』의 인용서목 고찰
The Study on bibliography in 『Muyedobotongji』
곽낙현 ( Nak Hyun Kwak )
UCI I410-ECN-0102-2014-600-002014521

이 연구의 목적은 『무예도보통지』에 실려 있는 145종의 인용서목을 종합적으로 분류하여 각 무예별로 인용된 서목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예도보통지』 145종의 인용서목을 사부 분류법을 통해 파악한 바, 한국문헌은 『삼국사』, 『고려사』, 『동국여지승람』, 『국조보감』, 『징비록』, 『경국대전』, 『속대전』, 『국조오례의』, 『한청문감』, 『악학궤범』, 『문헌비고』, 『용비어천가』, 『서애집』, 『상촌집』 등 14개, 일본문헌은 『일본기』, 『화명초』, 『왜한삼재도회』 등 3개, 나머지 128개는 중국문헌이었다. 둘째, 『무예도보통지』에 실려 있는 창류의 5가지 무예의 인용문헌은 69개, 도검류의 9가지 무예의 인용문헌은 90개, 맨손과 봉류의 3가지 무예의 인용문헌은 36개, 마상무예류의 6가지 무예의 인용문헌은 66개로 나타났다. 셋째, 『무예도보통지』에서 가장 많이 인용된 서목은 모원의의 『무비지』와 척계광의 『기효신서』 이었다. 『무비지』는 당파, 낭선, 쌍수도, 예도, 왜검, 월도, 협도, 등패, 권법, 곤방, 편곤, 마상편곤 등 12개의 무예에서 인용되었다. 『기효신서』는 장창, 당파, 낭선, 쌍수도, 예도, 등패, 권법, 곤방 등 8개 무예에서 인용되었다. 실제적으로 『무예도보통지』에 많이 인용된 서목은 두 서책 중에서 모원의의 『무비지』이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nd generally organize bibliography in 『Muyedobotongji』 through classifying bibliographic date. For this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figuring out 145 quoted data, there are 14 Korean bibliography 『Samguksa』, 『Goryeosa』, 『Donggukyeojiseungnam』, 『Gukjobogam』, 『jingbirok』, 『Gyeonggukdaejeon』, 『 Sokdaejeon』, 『Gukjooryeui』, 『Hancheongmungam』, 『Akhakgwebeom』, 『Munheonbigo』, 『Yongbieocheon-ga』, 『Seoaejip 』, 『Songchonjip』 and 3 Japanese bibliography 『Ilbongi』, 『Hwamongcho』, 『Waehansamjaedohoe』. the others are Chinese bibliography, 128 data. Second, There are 69 bibliography of 5 different kinds of Spear martial art, 90 bibliography of 9 different kinds of Sword martial art. 36 bibliography of 3 kinds of bare hand martial and bar martial art and 66 bibliography of 6 Kinds of horseback martial art. Third, The most quoted bibliography are 『Mubiji 』 by Mowonui and 『Gihyosinseo』 by Cheokgyegwang. 『Mubiji』 is quoted in 12 kinds of martial art bibliography Dangpa, Nangseon, Ssangsoodo, Yedo, Waegum, Woldo, Hyupdo, Deungpae, Gwonbeop, Gonbang,, Pyeon-gon, Masangpyeon-gon. 『Gihyosinseo』 is quoted in 8 kinds of martal art Jangchang, Dangpa, Nangseon, Ssangsoodo, Yedo, Deungpae, Gwonbeop, Gonbang. In fact, 『Mubiji』 is more quoted. than 『Gihyosinseo』 in 『Muyedobotongji』.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