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현대자동차가 지난 60년간 유지해 온 주야 맞교대에서 주간 연속 2교대 전환에 따른 시범사업을 올해부터 시작하였다. 완성차업체의 교대제 전환은 완성차업체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자동차부품업체, 연관 산업, 물류산업 등에 큰 파장을 줄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조달 및 판매 물류에서 큰 변화가 예상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교대제 전환이 물류산업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출발하였다. 완성차업체의 주간연속 2교대제로의 전환으로 부품산업의 공급체계가 큰 변화를 맞을 것으로 예상된다. 즉, 수직적 공급망 구조에서 네트워크형 공급망 구조로 전환되어 완성차간의 경쟁에서 부품업체 네트워크 경쟁으로 바뀔 것이다. 따라서 우리나라 자동차산업의 부품공급체제는 전속적 거래에서 다자간 거래로 진행되어, 복수발주, 복사 발주형식으로 전환되며, 동시납품을 위하여 전산망 발주 및 바이백으로 인하여 해외공급이 증가되는 등 다양한 변화가 예상되며, 연관 산업 및 물류산업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완성차업체의 주간연속 2교대제 전환에 따른 물류산업의 영향을 보면, 1) 부품 업체들 간 협업체계 강화에 의한 부품업체들의 독자적인 물류관리 능력 향상에 따른 효율화 및 간소화가 진행되며, 2) 공급망 관리가 적기적납에서 동시적 생산 방식 전환에 따른 조달물류의 공급망 관리변화, 3) 생산시설 확충 및 인건비 상승 압박 등으로 인하여 해외진출 활성화, 4) 동시적 생산방식을 유지하기 위한 통합적 SCM 구축, 5) 완성차 및 부품업체들의 비용 상승에 따른 물류산업에 전이 등으로 인한 영업이익률의 변화 등이 예상된다. 이와 같은 자동차업종의 교대제 전환은 물류산업에 있어서 위기이자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영업이익률의 하락, 해외동반진출의 배제 등은 위기를 제공할 것이며, 그와 반대로 부품업체들의 독자적 물류관리 능력 향상, 통합적 SCM 구축 필요성, 동반진출 가능성 증대 등은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물류기업들은 위기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대응방안 모색할 필요성이 있으며, 기회는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향후 예측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해서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에도 노력해야 할 것이다.
It is not the end of impact on the automotive manufacturers by the carmaker such shifts reorganized, its effects seems to be gaining momentum as direct sequencing car parts suppliers and 2?3 car parts suppliers. Have seen particularly interested in this paper, the logistics industry is expected to be a big impact on the logistics of procurement, sales. Compared to this seriousness, this paper began to write that is not existing the labor associated with paper. We will be summarized as fellows that it have been any impact on the logistic industry by the restructuring shifts in the automotive industry. 1. Supply chain management` Changes in procurement, sales logistics 2. Activation of the overseas 3. Integrated SCM building 4. Changes in the operating profit margin As is expected. In addition to above talked about, it is expected various changes in the logistics industry. Logistics enterprises is closely related to the automotive industry is inevitably becomes switched shifts by the simultaneous production system changes according to switch shifts of automobile manufacturers. Eventually even, logistics companies in Korea are likely lost to overseas logistics companies for domestic cargo. With him in advance with overseas likely to act as significant constraints. As like to presented in this paper, Logistics companies in Korea is only natural the change in the emergency response. and we would be needed deep distress to system`s building and preparing countermeasures that can predict future probl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