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29.64.21
3.129.64.21
close menu
}
KCI 등재
중국 물류산업의 성장전망 분석과 한국 기업의 대중 물류시장 진출에 대한 시사점
Analysis on Growth Prospects of China`s Logistics Industry and Implications for Korean Company`s Entry into Chinese Logistics Market
최문 ( Wen Cui ) , 손종원 ( Zhong Yuan Sun )
UCI I410-ECN-0102-2014-300-001580663

중국경제는 30여년의 고속성장과 더불어 현재 중국 국내뿐만 아니라 동북아 나아가 국제물류시장의 진출과 참여를 확대시키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 물류산업의 수요함수 추정을 통해 소득탄력성과 가격탄력성을 도출하고, 향후 성장 전망과 한국의 대중 물류시장 진출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중국 물류산업의 소득탄력성은 0.83, 가격탄력성은-0.30이었는바, 이는 중국의 1인당 국민소득이 1% 증가할 경우, 물류산업의 실질생산액이 0.83%정도 성장할 것임을 보여 주었다. 또한 이는 중국의 물류수요가 비록 GDP 증가와 더불어 빠른 증가세를 보이겠지만 중국의 기타 산업성장과 1인당 국민소득 등과 비교할 경우, 오히려 완만한 성장세를 유지할 것임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중국에 진출할 한국 물류 기업은 그 진출목적이 단기적인 이익창출일 경우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으며, 한국의 기존 국내물류시장의 한계를 탈피하여 중국시장을 개척할 목적으로 혹은 중국 물류시장 진출을 통해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교두보 확보의 장기 목적일 경우 바람직할 것으로 보이었다.

Chinese economy has experienced 30 years of rapid growth, and now Chinese logistic market expands rapidly, accelerates the pace of integrating into Northeast Asia and even the international logistics market. This paper estimates elasticity of price and income for logistics in China by demand function of logistics. The result shows that income and price elasticity of logistics are 0.83 and-0.30 respectively, which means that when per capita income increases 1%, the amount of real production grows 0.83%. The demand of logistics is growing rapidly with the growth of GDP, but comparing with other industries and per capita income, it can only be considered as a modest growth rate. Hence, Korean logistics company may need to focus on the long term goals. such as getting rid of domestic restriction, opening up Chinese market or establishing an international network in the long run instead of short run profit.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