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1
18.97.14.81
close menu
Accredited
장애인체육과 스포츠 보조공학의 융합을 위한 제언
A proposal for (future-oriented) convergence of sports for the disabled and assistive technology
최경훈 , 박기용
UCI I410-ECN-0102-2014-600-002031051

도시화 및 기계화가 심화되면서 각종 재해 현상이 급증하여 후천적 장애인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맥락을 같이 하여, 장애인체육이 활성화되고 있으며, 동호회 단위의 자발적 참여집단의 수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들은 생활체육을 단순히 재활의 목적이 아니라, 건강증진 사회적 연결망의 확대 그리고 자아실현의 기회로 활용하고 있다. 따라서 고난이도의 동작 구현, 극대화된 경쟁상태, 그리고 기록의 경신과 갱신을 소망한다. 그 방편으로 유럽을 위시한 미국에서는 스포츠 보조공학에 관심이 집중하고 있다. 이는 일반인이 설산(雪山)을 등반하기 위해 아이젠을 이용하고, 충격을 흡수하는 육상화를 착용하는 행위와 다를 바 없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보조공학 서비스 수준은 여전히 초보적이며, 생활 및 직무 수행을 위한 보장구 개발에 국한되어 있다. 이는 장애인 복지와 관련된 서비스체계의 문제이기도 하지만, 장애인체육 참여자의 염원을 간과하는 관련 기관들의 관심 및 의지부족에서 비롯된 현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소극적이고 근시안적인 장애인 복지 서비스 체계를 개선해야 한다. 즉 재활공학에 치우친 서비스 체계를 스포츠 보조공학의 차원으로 패러다임을 전환시켜야 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장애인체육 참여자의 체능향상과 성취동기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방편으로, 스포츠 보조공학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관계기관 및 학계의 관심을 유도하는데 목적이 있다. 나아가 스포츠 보조공학의 활성화를 통해 장애인의 삶의 질을 고양시키고, 자기효능감을 강화 시키는데 의의가 있다.

As the urbanization and mechanization increases industrial accidents, medical accidents, and environmental disaster, the number of the acquired disabled increases. In line with this, sports for the disabled is activated and the number of voluntary participant groups such as clubs increases. Most of the disabled take advantage of sports not only to be rehabilitated but to improve health, to expand their social networks, and to develop themselves. Thus, they hope to achieve physical abilities and competitiveness to be satisfied with themselves and to contribute to group events. Especially the United States as well as Europe are interested in sports assistive technology. This is no different from the able-bodied people who use climbing irons to climb snowy mountains and who wear running shoes with cutting-edge technology to break records in sprint races. However, Korea is still a beginner in assistive technology and Korea`s assistive technology is limited only to developing assisting devices to lead a life and to perform professional duties. This is not only because the disabled welfare service system has problems but because institutes are not eager to learn what the disabled sports participants need. Therefore, they should a paradigm shift from a passive and short-sighted disabled welfare system to a future-oriented system. Thus, this study is to promote a paradigm shift in assistive technology as a means of optimizing achievement motivation and improvement of physical abilities of the disabled sports participants and draw attention from academics and researchers. The ultimate aim of this study is to improve quality of life of the disabled by developing and distributing sports assisting devices and to reinforce self-efficac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