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43.247.108
3.143.247.108
close menu
}
KCI 등재 SCOPUS
대퇴 전자간 골절에 있어 고정형 전자부 금속정, 항회전 근위 대퇴 금속정 및 3세대 감마정의 치료 비교
Comparison of the Dyna Locking Trochanteric Nail, Proximal Femoral Nail Antirotation and Gamma 3 Nail in Treatment of Intertrochanteric Fracture of the Femur
김성수 ( Sung Soo Kim ) , 이규열 ( Kyu Yeol Lee ) , 김철홍 ( Chul Hong Kim ) , 이명진 ( Myung Jin Lee ) , 왕립 ( Lih Wang ) , 김현준 ( Hyeon Jun Kim ) , 김선효 ( Sun Hyo Kim )
Hip & Pelvis 25권 3호 211-219(9pages)
UCI I410-ECN-0102-2014-500-001920501

목적: 대퇴 전자간 골절의 치료에 있어서 활강 고정형 전자부 금속정, 항회전 근위 대퇴 금속정 및 3세대 감마정의 치료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1월부터 2012년 1월까지 대퇴 전자간 골절로 활강 고정형 전자부 금속정, 항회 전 근위 대퇴 금속정 또는 3세대 감마정을 이용하여 수술을 시행 했던 169예 중 추시 누락된 38예를 제외한 131예(활강 고정형 전자부 금속정 33예, 항회전 근위 대퇴 금속정 59예, 감마정 39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지연나사의 TAD, 대퇴 경간 각, 지연 나사의 골두 내 위치를 측정하였고 출혈량, 수술 시간, 수혈량, 입원 기간, 술 후 중환자실 입원 여부 및 합병증을 조사하였다. 결과: 방사선학적 결과 비교에서 모든 변수에서 세 군간의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으며 임상적 결과 비교에서도 세 군간의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 최종 추시 시 불유합은 항회전 근위 대퇴 금속정 군에서 1예, 내반 변형 및 지연나사의 관절 내 돌출은 활강 고정형 전자부 금속정 군에서 2예, 항회전 근위 대퇴 금속정 군에서 4예, 3세대 감마정 군에서는 1예가 있었다. 지연나사의 활강 거리는 세 군간의 통계학적 차이가 없었다. 결론: 활강 고정형 전자부 금속정, 항회전 근위 대퇴 금속정 군 및 3세대 감마정군 간의 방사선학적, 임상적 결과에서 특정 군이 더 우수하다고 볼 수 없었다. 우수한 결과를 위해서는 보다 정확한 골절의 정복과 술기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radiological and clinical results after treatment of intertrochanteric fractures of the femur by three devices including DLT, PFNA and Gamma 3 nail.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7 to January 2012, we reviewed 131 patients who suffered intertrochanteric fractures(33 cases of DLT, 59 cases of PFNA, 39 cases of Gamma 3 nail). The following were measured for all three groups; The tip apex distance (TAD), neck shaft angle and lag screw position at the head of femur, as well as the amount of blood loss and transfusion, operation time, duration of hospitalization and postoperative ICU admission, complications were also assessed. Results: In comparison of the radiological results,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oups in TAD, neck shaft angle and the lag screw position.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clinical results. In the last follow-up, there was one case of nonunion in the PFNA group. There also was, in the last follow up, a development of varus angulation & cut-out of lag screw that occurred in 2 cases (DLT), 4 cases (PFNA), 1 cases (Gamma 3).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in the sliding length of the lag screw. Conclusion: Any certain group was not better than the others with regard to the radiological and clinical results among DLT, PFNA and Gamma nail groups in treating intertrochanteric fracture. To achieve favorable results, precise reduction of fracture site and surgical techniques are important.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