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대학의 침체는 어제오늘의 문제가 아니지만 올해를 기점으로 하여 다시금 어려움이 가중될 전망이다. 이런 점에서 본 논문은 지방대학 침체의 원인과 활성화방안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지방대학 침체의 원인과 활성화의 개념을 규정하고 선행연구를 검토한 후, 지방대학 침체의 원인을 이념적·환경적 요인, 구조적·정책적 요인, 지방 대학 자체의 요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지방대학 활성화방안에서는 지방 대학 내부역량강화방안과 외부지원강화방안으로 구분하였다. 전자로서는 자율적 구조 조정 노력, 교육과 연구의 효율성 제고, 특성화전략, 해외유학생 유치와 해외대학과의 연계강화, 지역사회와의 연계강화, 경영쇄신과 재정건전화 노력 등을 제시하였다. 후자로서는 지역대학에 대한 지역사회의 인식과 역할의 제고, 지방정부의 협조와 지원, 중앙정부의 정책적 지원 등 3가지 영역에서 지원강화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중앙정부의 지원강화방안으로서 지방대학의 통폐합 유도·지원정책, 지방대학의 교육과 연구를 지원하는 정책, 수도권대학의 정원 외 모집과 편입학 규제정책, 지방대학의 기부금입학제 허용정책, 부실한 지방사립대 규제정책과 영세사립대 퇴출경로마련정책, 해외유학생 유치·교육 지원정책 등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국가발전의 중요한 한 축으로서 지방대학의 활성화는 반드시 필요하다. 지방대학의 침체는 지방대학의 외재적, 환경적 원인에 기인하는 바가 크므로 어느 하나의 주체의 노력만으로는 그 효과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지방대학 침체의 당사자인 지 방대학 자체의 노력과 대처를 위시하여 중앙정부의 정책적 역할과 지원 그리고 지역 사회 및 지방정부의 협조와 지원 등 지방대학 안밖의 노력과 협조, 지원에 의하여 지 방대학은 침체의 어려움과 고통을 완화하며 활성화되어 갈 것으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