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아동상담기관에 내원 중인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모래놀이치료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아동의 문제로 아동상담기관에 방문하는 부모에게 모래놀이치료를 실시할 경우, 부모의 부정적인 정서 중 우울감이 완화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특히 질문지 검사와 더불어 신경생리적인 뇌파측정을 통하여 더 객관적인 검증을 하였다. 연구대상은 총 13명의 부모로 11명의 어머니, 2명이 아버지였다. 모래놀이치료 프로그램이 진행되기 전에 우울척도로 사전검사를 실시하였고, 모래놀이치료 프로그램은 10주 동안 모래놀이치료실에서 진행되었다. 모래놀이치료가 진행되는 10주 동안 상담 전과 후의 뇌파 측정을 격주로 진행하여 6회기의 세션 전후 총 12번의 뇌파측정을 하였다. 모래놀이치료 프로그램이 끝난 후에는 사전검사와 같은 척도를 사용하여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문지를 통해 조사한 우울감에 대해서는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우울감 관련 뇌파측정에서는 유의한 결과를 보여, 모래놀이치료가 아동상담기관에 내원중인 자녀를 둔 부모의 우울감을 완화시키는데 기여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the parents of a children having psychotherapy at the Child and Family Counselling Center were considered valid subjects. The center employs sandplay therapy for the treatment of depression. In this study, a total of 13 parents, 11 women and 2 men, were examined using scientific and physiological analysis of EEG. Before proceeding,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regarding the Sandplay therapy program. Prior to the depression scale, a 10-week sandplay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in the sandplay therapy room. While the sandplay therapy was in progress, EEG brain waves measurements were taken. Bi-weekly progress was measured for a total of six. After the sandplay therapy program, progress was measured by comparing a pre-survey with a postsurvey. Research did not indicate depression but depression-related measures brain waves were meaningful. Sandplay therapy is effective for parents and children in the Child Guidance Center.